제목: 류광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에 대한 연구보고서
(본 자료는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에서 제목에 관한 연구보고서로서 총회의 자료요청에 관하여 교수회에서 올린 자료의 원안입니다)
대한예수교 장로회(고신) 총회장 귀하
일시: 1998년 3월 30일
제출자: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서론
류광수씨(이하 류씨라 칭함)는 1951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고신대 신학과와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여 합동측 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87년에 부산 영도의 동삼제일교회에 부임하여 오늘날까지 그 교회를 시무하고 있다. 그가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다락방전도훈련원'을 설립하여 전도를 강조하면서 전국에 '지회'를 설립하고, 여러 집회와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자신의 '전도방법'을 소개하고 홍보하면서부터이다.
처음에는 건전한 기성 교회의 목사들과 성도들 중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그가 주장하는 효과적인 전도방법을 배우거나 응용하여 도입하려고 하였다. 전도에 대한 강조와 새로운 전도방법에 대한 소개는 자연히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차차 류씨가 주장하는 가르침과 실제 행하는 방법에 적지 않은 문제가 드러나면서 교회에 혼란과 분쟁이 생기고, 심지어는 분열의 아픔까지 맛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교단에서는 1995년 광주은광교회에서 개최된 제 45회 총회에서 '류광수 씨와 다락방 전도학교'에 대한 '유사종교연구위원회'의 보고와 제언을 받고 "지금까지 관련된 교단 내의 인사에 대하여는 불문에 부치되 다락방과 계속 관련하는 인사에 대하여는 적절한 권징을 하도록 가결"하였다. 1996년 9월의 합동측 총회는 류씨의 다락방 운동을 이단집단으로 규정하였으며, 이어서 개혁측, 통합측, 성결교, 감리교, 침례교 교단 등에서도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경계하거나 교단차원에서의 대책을 세우게 되었다.
본 교단에서는 지난 97년 제 47회 총회에서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한 결과 류씨 의 다락방 운동에 대해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에 맡겨 연구 보고토록 하였다. 이에 본 교수회는 그 동안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보고서를 제출하게 되었다.
류씨와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에 대해서 현재까지 여러 공식적, 비공식적인 비판들이 나왔고, 이에 대해 류씨와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측은 반박성명서와 해명서를 발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서는 여태까지 진행된 비평과 반박을 독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양측의 주장을 비교하여 <부록>에 소개하였다.
우리는 이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기존의 비평에만 의존할 경우 자칫 잘못하면 부정적인 선입관과 편견에 치우치기 쉬우며, 다수의 견해와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공신력을 얻으려는 유혹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아무리 이단성이 있는 견해라 할지라도 그것에 대한 판단은 최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기본 자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씨의 가르침에는 비판의 소지가 될 수 있는 표현상의 오류와 조화와 균형을 상실한 극단적 성경 해석과 표현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류씨를 옹호하는 이들은 설교자의 말이나 실수를 가지고 이단으로 비판하는 것은 이적 행위와 같은 것이며, "대한민국 어느 목사이든지 사람을 잡으려고 이렇게 단어 문맥 하나하나 따지면 이단 안 될 목사가 누가 있겠는가?"라고 반문한다. 류씨는 또한 자신이 정통 교회에서 성장하였고 정통 신학의 노선을 배우고 가르친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자신의 표현상의 오류로 비판을 받을 만한 소지가 있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주면 얼마든지 고쳐서 전도만 열심히 하겠다고 자신의 소신을 밝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우리가 비판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류씨의 다락방 전도운동에는 분명히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신하기 때문이며, 류씨의 입장 표명에는 진실성이 결여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류씨는 자신의 가르침에 대한 문제가 공적으로 제기될 때마다 자신의 잘못을 시정하겠다고 말은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떻게 시정하겠다고 밝힌 적이 없다. 그는 구체적으로 비판받고 지적받은 부분에 대해 솔직하고 확실한 시인을 하기보다는 "그런 표현을 한 적이 없으며 혹 그런 부분이 저도 모르게 있었다고 하면 고치겠다."는 모호한 태도를 취하곤 한다. 그러기에 우리는 류씨가 진정한 개혁이나 수정의지는 없이 불리한 상황을 모면하려는 궁여지책(窮餘之策)으로 표면적으로는 수정의사를 표명하지만 실제적으로는 문제가 되는 자신의 주장들을 계속 확산시켜 나가고 있다고 본다.
나아가서 우리는 이단인지 아닌지 분별하기 힘든 불건전한 운동이 오히려 교회에 더 치명적인 피해를 끼친다는 사실을 중시한다. 류씨는 정통신학을 배운 사람으로서 정통신학으로 분명하게 정죄될 수 있는 이단의 입장을 공공연히 표방할 만큼 어리석지는 않을 것이다. 그는 정통 신학을 알기에 정통 신학이 이단을 규정하는 교리적인 망을 교묘하게 피해 가며, 아주 지능적이고 교묘하게 사이비적인 가르침을 퍼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그와 다락방전도운동은 큰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여태까지 진행된 기존의 비판들을 참고하면서, 우리는 문제를 새로이 파악하고 비판하려고 한다.
1. 다락방전도운동의 정통성 주장의 문제점
류씨는 다락방전도운동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도행전에 나타나는 초대교회의 복음전파운동이 바로 다락방의 시작이며, 루터와 칼빈의 말씀운동이 또한 다락방운동"이라 하였다.
류씨의 이런 주장은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의 합법성을 탄탄한 기초 위에 세우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그렇지만 바로 이 점에서부터 심각한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단한다. 왜냐하면 초대교회의 복음전파운동과 칼빈, 루터의 개혁운동은 전통적인 개신교가 주장하는 정통성의 성경적 근거요 역사적 배경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류씨가 정통 교회와 똑같은 성경적 근거와 역사적 맥락에서 자신의 다락방전도운동의 정통성을 주장하면서, 전도를 소홀히 하는 기존 교회와 참된 복음전도에 힘쓰는 다락방전도운동이라는 두 세력을 대립시킨다. 여기에 이미 분열의 요인이 도사리고 있다.
정통 교회와 똑같은 근거 위에서 다락방전도운동의 정통성을 찾으려는 류씨의 오만한 구상은 그 운동이 전개되면서 점점 심각한 양상으로 표면화되었다. 그는 다락방전도운동을 전개하면서 기성 교회를 전도를 잘 안 하는 교회요 참된 복음전파의 사명을 저버린 교회로 평가절하하며, 다락방전도운동이야말로 참된 복음운동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양자간에 대립과 갈등을 조장하였다. 이처럼 다락방전도운동이 정통 교회의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양자가 서로 대립하며 충돌하는 현상들이 여러 방면으로 나타나고 있다.
류씨는 기존 교회와 대립되는 교회나 교단을 결코 만들지 않을 것이라 단언하였다. 그러나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이 진행되면서 점점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교단, 기성 교회와 구별되는 소위 '참된 복음전도운동'을 한다고 하는 또 하나의 교회를 형성해 가더니, 결국 1997년 9월 10일에 '대한 예수교 장로회 전도총회'라는 교단을 만들고 말았다. 그는 기성 교회의 조직이나 프로그램을 거부하면서 자기 나름의 새로운 조직과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전도핵심요원을 만들어내는 조직, 새신자를 훈련하는 프로그램, 전도학교, 전도신학교를 비롯하여 다락방전도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를 파송하는 조직에 이르기까지 기성 교단이 가지고 있는 조직과 버금가는 대조직을 정비하였다. 이 모든 것은 교회를 돕는 측면 운동을 하겠다던 자신의 거듭된 공언과는 다른 것이다. 그 결과,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은 기존 교회와 대립되는 새로운 교회, 전도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프로그램을 갖춘 또 하나의 교회를 형성함으로써 한국 교회 전체에 큰 혼란과 문제를 초래하고 말았다. 이런 문제의 불씨가 이미 그의 다락방전도운동의 정통성에 대한 잘못된 주장 안에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2. 류씨의 '전도운동'의 문제점
류씨는 젊어서부터 오직 '오직 전도 하나를 위해 다른 모든 것을 포기'하고 "생일, 결혼, 회갑, 여행 등, 심지어 초상집에도 가지 않고 영혼 구원을 위한 전도에만 혼신의 힘을 다해 살아 왔고 또 살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부산 영도에 '다락방전도훈련원'을 설립하고 전국 곳곳에 '지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소위 세계복음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물론 이처럼 전도를 위해 헌신하고 전도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좋은 일이다. 주님께서 우리에게 명령하신 것이 바로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고 하신 것이 아닌가?(막 16:15) 부활하신 후에 갈릴리에 오셔서 제자들에게 주신 말씀도 역시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는 것이었다(마 28:19). 따라서 류씨가 '전도'를 강조하고 이를 위해 애쓰는 것 자체는 잘못이 아니다. 그러나 그의 전도 운동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1) 류씨는 예수께서 전하신 복음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류씨가 전하는 복음의 내용은 너무 협소하다. 그는 종종 "예수는 그리스도이다." 또는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라는 것만 알면 다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전도는 쉬운 것이다."라고 하며 "전도는 되어지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는 또 이렇게 말하기도 한다. "저는 설교 준비를 안 합니다. 할 것도 없고 또 해지지도 않고 항상 누구 얘기만 하느냐? 예수님 얘기, 전도만 얘기합니다. 전도 외에 다른 것 할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예수는 그리스도이시다." 또는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다."라는 것이 복음의 핵심이고 요체임에는 틀림없다. 그래서 사도들도 그렇게 전하였고, 우리도 또한 그렇게 전한다. 그러나 성경은 우리가 전해야 하는 복음의 내용을 항상 그런 것으로만 제한하고 있지는 않다.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신 후 제자들에게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 28:18-19)고 말씀하셨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명령하신 분부는 그저 예수님을 영접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예수님께서 명령하신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우리가 어떻게 구원받고 천국에 들어가는가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이 세상에서 어떻게 '빛과 소금'으로서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가르침이 다 포함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예수님께서 가르치신 모든 것, 곧 복음서에 있는 모든 말씀이 다 우리가 전해 주고 가르쳐야 할 말씀인 것이다.
그러나 류씨는 '전도의 내용'을 너무나 협의로 이해해서 불신자에게 처음 예수를 영접하게 하는 것이 전도의 거의 전부인 양 가르친다. 뿐만 아니라 기성 교회는 전도를 하지 않는다고 비방하면서 자기들만 전도하는 참 교회인 양 주장한다. 물론 류씨 자신도 전도를 좁은 의미로만 보면 안 되고 넓은 의미에서 보아야 한다고 말하기는 한다. 그러나 그가 말하는 넓은 의미의 전도란 '복음을 전파할 뿐 아니라 새신자를 양육하여 일꾼으로 성장시키고 다시 그들을 삶의 현장으로 보내어 그 곳에서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그의 '일꾼 양육'을 위한 교재의 내용을 보면, 실제로는 예수님을 처음 영접하게 하는 '일차적인 전도'를 위한 훈련 및 사단 결박, 기도의 능력, 병 치료 등에 거의 치우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러다 보니 류씨가 전하는 복음은 매우 치우치고 편협한 것이 되고 말았으며, 그리스도인의 성화와 생활에 대한 강조가 매우 약화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류씨는 성경에 나타난 포괄적이고 광의적인 복음을 축소하고 왜곡하여, 지극히 협소하고 치우친 '축소복음주의' 또는 '전도획일주의'로 빠지고 말았다. 그 결과 성도의 올바른 윤리와 이 세상에서의 건전한 삶이 등한시되고, 사회와 국가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의무를 소홀히 함으로써 실제로는 그들이 주장하던 전도도 별로 이루어지지 않고, 많은 경우 그 동안 기성 교회에 불만을 느끼고 잘 적응하지 못하던 일부 교역자와 성도들을 빼앗아 가는 결과를 가져오고 말았다. 여기에 류씨 운동의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2) 류씨는 사도들이 전한 복음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류씨는 다락방전도운동의 성경적 근거를 사도행전 1장 13-14절에서 찾고 있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다락방 전도는 예수님께서 친히 제자들을 중심으로 마가 요한의 다락방(the Mark's Room)에서 시작하신 순수 복음 운동이었고 기도모임이었습니다(행 1:13-14). 이것은 예수님의 공생애 기간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과 정성을 투여한 운동이었으며, 유대교의 율법과 바리새인들의 사상과 회당을 중심으로 한 모든 교육을 뛰어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근거로 제시하는 사도행전 1장 13-14절은 류씨가 주장하듯이 '다락방 전도'를 위한 구절이 아니라, 그도 부분적으로 인정하듯이 예수님께서 승천하시기 전에 분부하신 바 성령강림을 기다리며 기도하는 '기도회' 모임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 때 120명쯤 되는 성도들이 모여 기도했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로서 오늘날 우리가 꼭 그대로 모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기도회 모임'은 예수님의 승천 후에 오순절 성령 강림을 기다리는 역사적 특수 상황 가운데 있었으며, 그들만의 독특성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류씨는 사도행전에 기록된 초대 교회의 복음전파운동이 곧 참된 복음전도운동이요, 그것이 곧 다락방전도운동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도행전에서 사도들이 전한 복음은 류씨가 주장하는 복음과는 차이가 있다. 사도들이 전한 복음은 류씨가 주장하는 것과 같은 좁은 의미의 복음이 아니라 성도의 모든 삶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복음이기 때문이다. 물론 사도들도 '예수는 그리스도이심'과 '하나님의 아들 되심'을 전했지만(행 9:20,22, 17:18, 고전 1:23, 2:2 등), 그 전파된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아들'은 류씨가 주장하는 것처럼 치우치고 축소된 내용을 가지고 있는 그런 '그리스도'나 '하나님의 아들'이 아니라,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시며 우리의 모든 삶과 생사화복을 주장하시고, 우리에게 날마다 하나님을 본받아 경건하게 살 것을 요구하시는 '그리스도'요 '하나님의 아들'이시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예루살렘 공회와 벨릭스 총독 앞에서 '하나님께 대한 소망 곧 의인과 악인의 부활'을 인하여 심문을 받는다고 하였으며(행 23:6, 24:15), 또 벨릭스와 그의 아내 드루실라에게 그리스도 예수 믿는 도를 전할 때에는 '의와 절제와 장차 오는 심판'을 강론했다(행 24:25). 이처럼 사도들이 전한 복음은 포괄적이요 전체적인 복음이었다.
물론 사도들이 믿지 않는 자들에게 처음 복음을 전할 때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증거하고, 이 그리스도를 영접하도록 촉구하였다(행 2:38, 4:12, 16:31 등). 하나님께서는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다."(고전 1:21) 따라서 사도 바울은 '유대인의 표적'이나 '헬라인의 지혜'를 전하지 않고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했으며(고전 1:23),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힌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알지 않기로 작정하였다."고 말한다(고전 2:2). 이처럼 우리가 믿지 않는 자들에게 처음 복음을 전할 때에는 '일차적인 전도'에 치중할 수밖에 없고, 또 그렇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사도들은 류씨가 하듯이 소위 '중요한 핵심부분을 반복교육'하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더 나아가 '복음에 합당한 생활'을 가르쳤다. 오순절 날에 회심한 3천명의 무리들에게 사도들은 날마다 그들을 '가르쳤으며', 거기에는 또한 '교제'와 '기도'와 물건을 서로 통용하는 '사랑'이 있었다(행 2:42-47). 사도 바울은 에베소에서 2년 반 동안 머물면서 복음을 전하고 목회하였는데, 그 교회를 떠나면서 장로들에게 자신의 사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곧 모든 겸손과 눈물이며 유대인의 간계를 인하여 당한 시험을 참고 주를 섬긴 것과 유익한 것은 무엇이든지 공중 앞에서나 각 집에서나 거리낌이 없이 너희에게 전하여 가르쳤다."(행 20:20) 골로새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도 바울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너희의 믿음과 모든 성도에 대한 사랑을 들음이요 너희를 위하여 하늘에 쌓아 둔 소망을 인함이니, 곧 전에 복음 진리의 말씀을 들은 것이라."(골 1:4-5) 여기서 우리는 바울이 전한 '복음 진리의 말씀'은 곧 '믿음'과 '사랑'과 '소망'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바울은 일차적인 전도만 하고 끝난 것이 아니라, 그에 필연적으로 따르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와 인격, 성화와 생활, 나아가서 유익한 모든 것을 가르쳤다. 이것이 바로 넓은 의미에서의 복음이며 성경이 말하는 바 총체적인 복음인 것이다. 그래서 바울은 그의 서신서에서 "그리스도 복음에 합당하게 생활하라."고 말하고 있으며(빌 1:27), 또한 "그러므로 너희가 그리스도 예수를 주로 받았으니 그 안에서 행하되 그 안에 뿌리를 박으며 세움을 입어 교훈을 받은 대로 믿음에 굳게 서서 감사함을 넘치게 하라."고 말하였다(골 2:6-7). 이처럼 바울이 전한 복음에는 '교리 부분'과 그에 따른 '윤리 부분'이 있지만, 류씨가 전하는 다락방복음에는 이 '윤리 부분'이 거의 없거나 무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그가 전하는 '교리 부분'도 아주 초보적이고 기초적인 내용에만 머무르고 있으며, 상당 부분이 사단과의 대결구도로 편향되고 왜곡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류씨가 주장하는 다락방전도운동은 사도들의 전도운동과는 다른 것이라고 결론 지을 수 있다.
3) 류씨는 종교개혁자들의 말씀운동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사도들의 복음전파와 가르침의 바탕 위에 세워진 역사적인 정통 교회들은 성경에 나타난 포괄적인 복음전파사역을 지향해 왔다. 류씨는 16세기 종교개혁운동을 다락방전도운동과 동일한 것으로 주장하나, 칼빈의 개혁운동은 류씨와 같이 전도만 강조한 운동이 아니라 중세 카톨릭 교회에 의해 변질된 복음을 다시 회복하고 말씀으로 교회를 개혁함으로 세상 속에 하나님의 주권을 확장해 가는 총체적 복음운동이었다. 곧 칼빈의 개혁운동은 성경 말씀의 권위를 바로 세워 그 말씀을 온전히 지키고 따르는 데 역점을 기울인 운동이었으며, 칭의와 성화의 교리를 재정립하며, 교회를 성경적인 모습으로 갱신하여 세상 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확장시키려는 운동이었다. 따라서 칼빈의 개혁운동은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과는 그 의미나 강조점, 목적과 성격이 아주 다른 것이다.
기성 교회의 대부분의 목사들은 주님의 명령과 사도들의 가르침에 따라 그리고 개혁교회의 전통을 따라 신자들을 말씀으로 양육하며 교회를 주 안에서 바로 성장시키기 위해 직분자를 세우고 조직과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며 목회에 힘쓰고 있다. 이 모든 목회사역이 궁극적으로 우리 교회와 교인들이 복음의 빛을 밝히 비추는 증인으로서의 사명을 잘 수행하기 위한 복음전파의 목적을 가지고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성 교회가 하는 모든 목회사역은 복음전파의 필수적인 요소요, 그 자체가 복음전파운동인 것이다.
그러나 류씨는 복음전파운동의 포괄적인 의미를 성경적 관점에서 바로 이해하지 못하고 그 동안 복음전파 사역에 힘쓰고 있는 기성 교회를 전도 안 하는 교회로 비난하고 있다. 그는 교회의 복음전파운동에서 중요한 요소인 성화와 양육, 나아가 이를 위해 필요한 조직과 프로그램 및 목회사역을 간과한 채, 일차적인 전도만 하는 것이 참된 복음운동이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교회에게 주어진 총체적인 복음전파사역을 바로 이해하지 못한 비성경적인 주장이다.
4) 다락방전도 방법만이 유일한 전도방법은 아니다.
류씨는 다락방전도만이 유일한 전도방법인 듯이 주장한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전도하되 다락방 전도여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전도방법은 기본 원리를 빠뜨린 채 해 왔기 때문에 전도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류씨가 주장하듯이 꼭 자기들 방식대로 전도해야만 올바른 전도라는 주장은 성립될 수 없다.
우리가 전도해야 한다는 것은 절대불변의 진리이지만, 그 전도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수님께서는 수천 명의 무리들에게 전도하셨을 뿐 아니라 열 두 명의 제자들에게 조용히 가르치기도 하셨다. 또한 회당에서나 집에서나 산이나 들에서 가르치기도 하셨고, 길 가면서도 가르치시고 식사하면서도 가르치셨다. 또 열 두 제자를 내어 보내면서 복음을 전하게 하셨을 뿐 아니라 70명을 둘씩 둘씩 보내면서 복음을 전케 하기도 하셨다. 사도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사도들은 오순절 날 예루살렘에서 수천 명의 무리들에게 설교함으로 복음을 전하였으며, 회개하고 믿은 자들에게는 사도들이 날마다 가르쳤다. 바울은 회당에 들어가서 복음을 전하기도 하였고 길거리서나 시장에서나 어디서든지 기회 닿는 대로 복음을 전하였다.
이처럼 복음 전파의 방법은 다양하게 나타나며, 꼭 어느 한 방법만이 옳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류씨가 다른 전도방법을 비판하고 자신의 전도방법만이 전도되는 방법인 것처럼 선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5) 류씨는 복음전파의 궁극적 목적을 바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류씨는 복음전파 사역의 한 단면만을 거의 전부인 양 부각시킨 나머지 다른 중요한 면들을 백안시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는 전도를 그토록 강조하면서도 전도의 궁극적 목적을 바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류씨에 의하면 전도의 목적은 인간을 죄에서 구원하고 사탄의 억압에서 해방시키고 영육의 모든 문제를 해결받고 그리스도를 누리는 것이라 한다. 그는 전도의 목적을 인간이 누리는 혜택의 차원에서만 이해하고 전도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에 있다는 것을 바로 강조하지 못하고 있다. 류씨는 전도의 목적을 주로 죄와 사탄과 비참으로부터 구원(liberated from)이라는 것을 강조하나, 그와 함께 하나님께 나아가 의의 열매를 맺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 위한 구원(liberated for)이라는 점을 바로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
류씨는 사람을 구원하는 열매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전도만이 능력 있는 참된 전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아처럼 120년 동안 전도했으나 아무 열매가 없어도 복음의 빛을 바로 밝힌 전도라면 그것은 하나님께 영광되는 전도이다. 전도는 영혼을 구원하는 목적만 갖는 것이 아니고 끝내 복음을 거부하는 세상에 분명한 증인의 모습을 보여줌으로 그들로 핑계할 것이 없게 만드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신자들의 성결한 삶을 통해 교회를 비방하는 이들의 입을 막고 그들이 부인할 수 없는 복음의 빛을 비치는 것도 전도의 일면인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영광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전도는 성도들이 이 세상에서 빛과 소금된 삶을 사는 것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마 5:16).
우리를 택하시고 구원하신 목적은 예수의 형상을 본받게 하기 위함이다(롬 8:29). 우리가 주의 형상으로 변해갈 때, 곧 성령의 열매가 나타나는 인격의 소유자로 새로워질 때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신다. 주님께서도 우리가 세상에서 이 열매를 많이 맺으면 하나님 아버지께서 영광을 받으신다고 하셨다(요 15:8). 우리를 이 땅 위에 예수의 증인으로 남겨두신 이유는 첫 사람 아담의 성품을 벗어버리고 두 번째 사람인 그리스도의 형상을 입은 새사람의 모습이 어떤 것인가, 이런 새 사람이 모인 참된 인간의 공동체의 모습과 삶이 어떠한 것인가를 보여줌으로 그리스도의 은혜의 풍성과 영광을 나타내시기 위함이다. 이것이 곧 예수의 증인되는 삶이요, 세상에 빛을 비춘다는 의미이며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영광이 돌아가게 하는 전도이다. 모든 교회와 신자들은 계속 주님을 입으로 증거해야 한다. 그러나 이런 입술의 전도는 전인적인 전도가 뒷받침되고 병행될 때 참된 복음 증거가 되는 것이다. 류씨의 가르침에는 이 전도의 궁극적인 목적이 바로 제시되지 못함으로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한 성화와 회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강조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6) 현재 한국 교회가 필요로 하는 것은 다락방전도운동이 아니다.
류씨는 침체하는 한국 교회를 살리는 길이 다락방전도운동이라고 역설한다. 이러한 류씨의 말은 교회성장의 돌파구를 찾아 보려고 고심하는 목회자들에게는 상당한 유혹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일시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일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지금 이 시점에서 한국 교회에는 류씨가 강조하는 일차적 전도도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개인 신자의 바른 양육과 성화, 교회 차원의 개혁도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는 기성 교회가 이런 점에서 실패하고 있기 때문에 세상에서 신뢰와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본다. 현재 한국 교회에 필요한 것은 열심있는 복음전파와 함께, 잃어버린 거룩과 신앙의 순결을 회복하는 철저한 회개운동과, 한국 교회에 만연하고 있는 세속주의와 물질주의의 요소들을 척결하는 개혁운동이다. 교회가 교회의 참 모습을 회복하고 은혜와 성령이 충만한 공동체가 될 때 가장 효과적인 복음전파가 진행될 것이다.
한국 교회는 여태까지 전도에 힘쓴 교회로 알려져 왔다. 개신교 역사 백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세계 교회사에서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놀라운 성장을 이룬 것은 한국 교회가 그 동안 전도에 열심히 매진한 결과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러한 엄연한 사실을 무시하고 류씨가 기존 교회는 전도를 안 하는 교회처럼 말하는 것은 큰 잘못이다. 지금도 대다수 교회들이 전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많은 교인들이 삶의 현장에서 증인의 사명을 열심히 수행하며 살고 있다. 이런 기성 교회의 복음전파운동은 다락방전도운동처럼 거창하고 떠들썩하게 진행되지는 않기에 류씨의 눈에 잘 감지되지 않았는지도 모르겠다. 류씨는 기성 교회의 전도는 '안 되는 전도'이고 다락방전도는 '되는 전도'라고 말하며 다락방전도의 성과를 크게 과시하고 있으나, 백 년 전만 해도 복음의 불모지였던 이 땅에 지금은 천만에 이르는 교인이 생긴 것은 바로 기성 교회의 복음전파운동의 열매라는 사실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혹자는 다락방전도운동으로 인해 교인이 늘고 목회에 도움이 되었다는 사례들을 들면서 이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긍정적인 듯이 보이는 사례가 꼭 그 운동이 성경적이고 건전하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때로는 휘어진 막대기도 사용하신다. 은혜가 무한하신 하나님께서는 잘못된 가르침 안에 잔재되어 있는 산발적인 복음적 요소를 통해서 선을 이루시기도 하신다. 그러므로 이런 열매들은 다락방운동의 오류와 불건전성에도 '불구하고' 내리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기성 교회가 많은 문제점과 개혁해야 할 것들을 안고 있으며, 이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이 필요하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비판은 주님의 몸된 교회의 문제가 곧 나의 문제요, 그것을 들추어 내는 것이 곧 나의 치부를 들추어 내는 것처럼 고통스럽고 안타까운 마음으로, 교회에 대한 깊은 사랑과 눈물의 기도를 배경으로 한 건설적인 비판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회에 대한 사랑과 눈물의 기도가 결핍된 채 교회의 약점을 비판하는 데 열을 올리는 것 같은 자세는 과거에 있어 온 이단의 전형적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류씨가 그와 같은 잘못에 빠지지 않기를 바라지만, 그러나 교회의 문제점을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비판하고 자신의 다락방전도운동만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참된 복음운동이라는 것을 부각시키는 그의 오만한 태도 속에는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성령의 사역자는 화평케 하는 자이며, 성령의 운동은 항상 화평의 열매를 맺는다. 그래서 "화평케 하는 자들은 화평으로 심어 의의 열매를 거두느니라."고 하셨다(약 3:18). 그러나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에는 이 성령 운동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결여되었고, 오히려 교회의 하나됨을 파괴하여 성령을 근심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전도의 중요성을 부르짖는 류씨의 메시지는 아주 복음적인 것 같으나 아주 교묘하게 비성경적이다. 복음을 열심히 전해 죽어 가는 영혼들을 구하고 온갖 우상과 죄악과 어두움의 영에 사로잡힌 이 민족을 구원하자는 류씨의 외침과 호소에 공감하며 '아멘'을 보내지 않을 목사와 교인이 어디에 있겠는가? 기성 교회가 전도하지 않는다는 류씨의 비판에 도전을 받으며 자신의 전도의 열심이 부족함에 대해 죄책을 느끼지 않을 그리스도인이 어디 있겠는가? 전도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너무나도 당연한 대의명분 앞에 누가 감히 반론을 제기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우리는 사이비운동이 전도라는 미명 아래 비판과 반론의 화살을 최대한 피하면서, 교회 안으로 침투해 들어올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3. 교리적인 문제
1) '천사 동원권'과 '기도 응답'에 대한 주장
류씨는 하나님께서 구원받은 이에게 일곱 가지 권세를 주셨는데 그 중에 '천사 동원권'이 있다고 한다. 류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천사 동원, 성경에 있지 않습니까? 주의 사자들이 가(서) 기도하는 곳마다 하나님은 주의 천사를 보내가(보내서) 불말, 불병거를 동원시키는데, 성경에 중요할 때마다 나오는데 왜 성경을 부인합니까? 성경에 있어요. 그리고 이 응답을 우리는 지금도 받을 수가 있어요. … 하나님이 순복음 OO교회 주위에 우리 K 목사님과 주의 종의 배후에 하나님은 불말과 불병거를 착 동원시키십니다. 이걸 보는 눈이 없거든. 이런 눈이. 성경 안 믿으니까 뭐! 그러니까 뭐! 왜 류 목사님은 천사 이야기를. 왜 못합니까? 성경에 있는 거를. 하나님께 함(한번) 물어 보세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요."
'천사 동원권'에 대한 류씨의 이같은 언급이 논란의 대상이 되면서 그는 신자가 직접 천사를 직접 동원할 수 있다는 의미로 말한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그의 주장에는 성경적 가르침의 한계를 벗어난 요소가 많다. 류씨는 기도하면 하나님께서 천사를 동원하시고, 또 전도하러 가면 천사를 동원하신다면서, 베드로가 옥에 갇혔을 때 주의 천사가 그를 구출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그는 사도들이 전도 사역에서 천사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한 듯한 경우도 많이 있었다는 것을 언급하지 않는다. 우리는 바울 사도가 천사의 도움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버림을 받은 것 같은 상황에 처하였던 것을 종종 보게 된다. 그는 말하기를, "내가 수고를 넘치도록 하고 옥에 갇히기도 더 많이 하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뻔하였으니 유대인들에게 사십에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 맞았으며 세 번 태장으로 맞고 한 번 돌로 맞고 세 번 파선하는데 일 주야를 깊음에서 지냈으며 여러 번 여행에 강의 위험과 강도의 위험과 동족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짓 형제 중의 위험을 당하고 또 수고하며 애쓰고 여러 번 자지 못하고 주리며 목마르고 여러 번 굶고 춥고 헐벗었노라."고 하였다(고후 11:23-27). 또한 바울은 말하기를, "하나님이 사도인 우리를 죽이기로 작정한 자 같이 미말에 두셨으매 우리는 세계 곧 천사와 사람에게 구경거리가 되었도다 …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 맞으며 정처가 없고 또 수고하며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후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핍박을 당한즉 참고 비방을 당한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끼같이 되었도다."(고전 4:9, 11-13)고 하였다. 류씨는 성경에 나타나는 특별한 사례를 보편적인 것처럼 강조하므로 신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또한 류씨는 참된 신자는 기도를 하면 반드시 응답을 받는다고 하면서 기도 응답을 다락방전도운동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한다. 그는 "교회 다니는 사람 중에 기도 응답 받지 못한 사람들 추적해 보면 예수님을 진짜 영접 안 해서 그래 요."라고 하였고, 자신의 기도 응답이 3일을 넘긴 적이 없다고 하였다. 그의 이런 극단적인 표현을 논외에 부친다 하더라도, 그는 기도는 반드시 응답되어야 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한 나머지 신자의 삶 속에 있는 부정적인 고난의 측면을 백안시하고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서 등 개혁교회의 신조들은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신자의 불완전성을 강조한다. 신자는 아무리 높은 거룩의 경지에 이르렀다 할지라도 불완전하여 육신의 뜻을 따라 구하는 성향이 남아 있다. 신자가 하나님의 뜻대로 구하지 아니하고 자기 욕심에 이끌려 구한 기도는 응답받을 수 없다(약 4:3). 또한 비록 바르게 구했다 할지라도 그 응답이 오래 지체되는 경우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우리가 구한 그대로 응답받지 못하는 것이 참된 기도응답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도 바울은 선한 목적을 가지고 하나님께 세 번 간절히 기도 드렸으나, 그 기도가 구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이 경우 그의 기도는 응답받은 기도였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고후 12:7-9).
2) 십자가가 결여된 영광의 신학
류씨는 다락방전도운동이 개인과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도만 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가? 물론 죄의 근본문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죄의 구습을 처리하는 문제나 죄의 세력에서 완전히 자유하는 문제는 아직 남아 있으며, 성격적 결함이나 질병, 또는 가정의 문제는 그대로 계속되기도 한다. 또 그런 문제들이 점진적이고 부분적으로만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
류씨는 또한 전도가 사회가 안고 있는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반복해서 말하지만, 그것은 너무나 단순하고 무리한 주장이다. 주님께서 가라지와 알곡을 추수 때까지 같이 자라게 그대로 두라고 하신 말씀과 같이, 전도를 통해 이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이 부분적으로 해결될 수는 있으나 그 모든 것들이 근본적으로 완전히 해결될 수는 없다. 이상적 사회나 완전한 하나님 나라의 건설은 우리의 소망이요 기도 제목이기는 하나, 현세에서 실현가능한 것은 아니다.
신자는 이 땅 위에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많은 문제들을 안고 신음하고 고통하면서, 종말의 완전한 해결과 구원을 소망하며 인내로써 살아 간다. 성령의 능력과 풍성한 은혜는 신자를 이 종말론적인 고난과 약함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고난을 잘 감당할 수 있게 하며 십자가의 길을 기쁨과 감사함으로 따라갈 수 있도록 도우시는 것이다.
그래서 신자의 삶에는 구원의 기쁨과 감격도 있지만 동시에 신음과 슬픔과 고난도 공존하는 것이다(롬 8:18-25). 정통 교회는 신자의 삶의 이러한 측면을 직시하고 믿음으로 대처하게 하는 '십자가의 복음'을 전해 왔다. 그리고 이 십자가의 복음을 무시한 '번영신학' 또는 '영광의 신학'을 비성경적이며 때로는 이단적 가르침으로 정죄해 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류씨의 가르침에는 이런 위험성이 다분히 내포되어 있다. 그의 가르침에는 십자가의 신학의 자취를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하나님의 축복과 약속에는 현재 '실현된 측면'과 '아직 완성되지 않은 측면'이 있는데, 류씨는 이를 균형있게 강조치 못하고 실현된 부분에 치우침으로 신자의 삶이 지닌 종말론적인 요소를 제대로 부각시키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류씨의 이런 치우친 주장은 광야의 여정에서 지루함을 느끼는 신자들에게는 시원한 안식처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 기존 복음이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 해결의 열쇠를 제시하는 참된 복음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킴으로 많은 사람들의 귀를 솔깃하게 만들 수 있다. 이것은 한 때 한국 교계에서 하나님의 축복만을 강조하는 번영신학이 많은 사람들을 끌어 당긴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류씨의 이런 균형을 잃은 복음이 또 다른 형태의 번영신학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따라서 류씨의 전도운동은 참된 복음을 전하는 것이 아니라 반쪽 진리만을 전하는 것이요, 성경이 허용하는 것보다 훨씬 과장된 약속과 희망을 제시함으로써 순진한 영혼들을 교묘히 속이는, 진실하지 못한 전도 메시지이다.
3) '귀신론'과 '사탄 배상설'의 문제
류씨는 귀신론과 사탄 배상설(賠償說)과 관련하여서도 교계에 많은 물의를 일으켰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해 나름대로의 해명을 하기도 했다. 곧, 자신은 이런 문제에 대하여 아는 바도 없다거나, 정통 교회와 신학에 속한 자신이 그런 말을 했을 리 없다거나, 또는 잘못이 있으면 이를 시정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그는 "더 이상 사탄에게 굴복할 이유가 없다. 주님께서 십자가에서 다 지불하셨다."는 발언으로 야기된 사탄 배상설에 대해서는 단 한번 언급하였다고 변명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이런 변명은 그의 신실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사탄 배상설에 관하여는 수영로교회 집회시에 설교하던 중 단 한번 언급하였다고 하지만, 그는 이와 유사한 언급을 '평신도 기초 전도이론 강의 테이프 6'에서도 말하고 있다. "마가복음 10장 45절, 대속물로 오셨던 … 대속물이라는 말은 뭔가 갚아 주는 것 아닙니까? 사단에게 모든 우리의 실패(죄)의 댓가를 전부 다 갚아 버리는 것입니다. 그래놓고 주님이 문을 열어 주셨습니다. 뭔 말인가 아시겠지요? 어마어마한 권세를 주셨습니다." 다락방측은 신학자가 아닌 한 설교자로서 한 말에 대하여 너무 가혹한 평가를 한다고 반박하지만, 이런 여러 정황을 보건대 류씨의 신실성은 의심스럽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그는 문제가 될 만한 발언을 여러 차례 하였다. "그 사람 죽어버리면 영혼이 갇혀 있다가 악령은 가만히 그 영혼이 후손을 괴롭히잖아요." 류씨는 또한 마귀(귀신)가 가져다 주는 병의 특징으로 '병명 불분명, 이유 없는 두통, 머리에서 소리가 남, 치유되지 않으면서 순간적 변동'등을 언급한다. 또 미혹의 영은 평생 따라다닌다거나 계속 증가되며 결국 육체를 멸한다고 주장한다. 비록 류씨 자신은 김기동과의 어떠한 관련도 부인하고 있지만 위와 같은 그의 발언은 김기동의 귀신론과 매우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4. 교회윤리적 문제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은 기존의 교회를 비방, 매도하고 분열시킴으로써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에 심각한 폐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그 운동의 성격을 관찰해 보면 이미 그 속에 교회의 연합을 깨뜨릴 수밖에 없는 필연적 이유들이 내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1) 잘못된 영적 우월주의
류씨의 가르침은 구조적으로 교회 분열을 야기할 수밖에 없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는 신자를 예수를 '믿는 사람'과 '영접한 사람'으로 양분한다. 예수를 영접한 사람만이 성령이 내주하고 마귀의 권세에서 해방되었다고 한다. 그런 가르침에 회유된 사람들은 수십 년간 예수를 믿었으나 영접하지는 못했다는 착각에 빠져 교회를 불신하고 다락방에 더욱 심취하게 된다. 또한 류씨는 기성 교회의 98%는 시험에 들어 있고 마귀에 사로잡혀 있다고 함으로써 교회에 대한 부당한 반감과 비판의식을 조장한다. 그렇게 훈련받은 사람들이 어떻게 기성 교회 안에서 하나되어 신앙 생활을 할 수 있겠는가? 류씨는 부인할지 몰라도 그의 주장 자체가 교회의 연합을 파괴할 수밖에 없는 필연적 요소들을 배태하고 있다. 결국 다락방전도운동은 자신들만이 참된 전도운동을 하고 있다는 영적 우월주의 내지는 영적 엘리트 의식으로 나타난다.
이런 잘못된 우월주의는 그들의 폐쇄적인 교육이나 그것에 준하는 삶의 태도로 인해 더욱 고착된다. 류씨가 운영하는 핵심요원훈련, 팀사역훈련, 미션홈, 전도신학원, 선교사훈련원, 70인요원훈련 등과 같은 많은 훈련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단순히 전도 훈련만을 위한다면 무슨 프로그램이 그렇게 많이 필요한가? 그것은 교회 일반적 전통의 토대 위에다 자신들만의 상층구조를 세우고자 하는 잘못된 엘리트주의가 게재되어 있다. 그들이 현장을 강조하고 '미션 홈'(Mission Home)을 주창하는 것은 단순히 방법론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그들이 의도하지 않았다고 하겠지만, 이것은 교회사에 나타나는 '비밀회집소'(Conventicle)의 전철을 밟는 것이다.
2) 맹신적 추종자를 양산함
류씨의 많은 프로그램 중 특히 주일 밤마다 가지는 핵심요원훈련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가 없다. 목회자들을 저 멀리 경기, 충청, 강원도에서 영도 한 모퉁이까지 달려오게 만드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행위이다. 하루 종일 예배를 인도하여 피곤한 목회자들이 어떻게 달려올 수 있으며, 그렇게 해서 무슨 목회가 제대로 되겠는가?
류씨가 정말 사심이 없다면 달려오는 목사들을 오히려 막아야 한다고 본다. 자신의 전도 방법론을 다 가르쳤으면 그것으로 본 교회 목회를 잘 하도록 격려하고 돌려보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전에 류씨에게 배우기는 했으나 그의 집단에는 가담하지 않은 분들의 얘기가 그것이다. 방법론만 배웠으면 됐지 계속해서 그를 따라다녀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류씨는 핵심요원훈련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들을 영적으로 예속시키고 있다. 그 훈련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거기에 가야만 은혜가 되고 힘이 생기고 다른 메시지는 생명이 없다고 한다. 그러는 가운데 그들은 점점 다락방을 떠나면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영적 노예로 전락하고 만다. 류씨는 자신의 운동이 교회를 성장시키는 것이라고 해놓고 실제로는 다락방에 예속된 영적 어린아이만을 양산하고 있다. 강하게 되는 것은 교회가 아니라 다락방전도운동일 따름이다.
이렇게 다락방전도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 상당수가 류씨의 맹신적인 추종자로 전락하고 있다. 교회 내에서 이런 특정인의 추종자들이 생겨난다는 것은 교회의 연합에 치명적인 해악을 끼친다. 또한 다락방전도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기들끼리 정서적으로 굉장한 동지의식을 가지고 있다. 기성 교회들이 다락방전도운동을 비판함으로 그들의 동지의식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소위 진리를 위해 핍박받는다는 식이다. 따라서 그들은 어떤 계기에 부딪치면 일시에 결집하고, 편당을 지어 교회에 어려움을 야기시키도 한다. 그래서 문제가 발생한 교회들은 갈등과 분쟁, 그리고 마침내 교회 분열이라는 아픈 상처를 입게 되었으니, 이에 대한 책임은 어떤 변명으로도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다.
다락방전도운동이 이렇게 교회를 분열시키는 운동으로 귀결된다면 이는 결코 성령의 사역은 아니다. 성령은 우리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인내하신다. 거룩하신 성령은 우리의 죄와 허물을 참으시며 우리 안에서 성화를 이루어 가신다. 성도간의 상호권면도 성화의 한 방편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인내를 힘입어서 교회의 부족한 모습을 개혁해 나가는 데 적극적으로 헌신하기보다는, 전도의 열심을 빙자하여 교회를 정죄하고 분열시키는 행위는 결코 성령의 사역으로 볼 수 없다.
전술한 대로 다락방전도운동은 그 가르침이나 조직의 극단성 때문에 사실은 자신들이 표방하는 전도운동에도 별다른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 다락방전도운동에 열심히 가담했던 우리 교단의 어떤 목사에 의하면 자신의 교회에서 다락방훈련을 받은 12명의 성도들을 인도자로 세워 보았지만 아무런 성장이 없었다고 한다. 전도란 말과 행실에 모범이 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통할 때 효과가 있는 것이지, 교회 안에서의 영향력 증대나 꾀하는 왜곡된 인격으로는 아무리 훈련을 받는다고 해도 별무성과일 것은 자명하다.
이런 결과는 목회자에게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한계에 도달한 목회의 돌파구로 다락방을 찾는 목사들은 아무리 다락방에서 배운 것을 사용해도 별로 결실이 없음이 나타나고 있다. 전도란 참으로 영혼을 구원코자 하는 열정에서 이루어져야지, 단지 교회의 수적 성장만을 목표로 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것이 아닐 것이다. 물론 누구에게나 목회 사역에 별다른 열매가 나타나지 않을 때가 있을 수 있다. 그럴 때는 그 원인을 찾아 해소해야지, 그렇지 않고 다락방전도운동을 마치 하늘에서 떨어진 비법인 것 같이 사용해 보아야 별 성과가 없을 것은 당연하다.
대구의 K 목사와 같이 간혹 다락방에 참여한 후로 교회가 성장한 사례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분석한 바로는 그런 목회자는 다락방이 아니더라도 교회를 일으킬 수 있는 목회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분들이다. 그런 경우 다락방이 방법론적으로 조금의 도움이 되었을 수는 있다. 그러나 그것 하나만으로 다락방전도운동이 안고 있는 수많은 문제점들을 상쇄할 수는 없다.
결론
류씨의 가르침에는 표현상의 오류와 극단성으로 야기되는 문제를 제외하고도,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많은 면에서 비성경적이고 불건전한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회 안에 위화감과 대립, 분쟁과 분열을 조장할 수 있는 위험성을 심각하게 배태하고 있다. 전도에 대한 그의 이해는 다분히 편향적이다. 그는 오로지 전도라는 하나의 각도에서만 성경을 해석하기 때문에, 치우친 '축소복음주의' 또는 '전도획일주의'로 빠지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복음이 성도들에게 주는 더 많은 은혜와 유익들을 바로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예수님과 사도들이 제시하고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한 복음운동은 단지 '일차적 전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명하신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는 '총체적인 복음운동'이다. 이에는 일차적인 전도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윤리와 성화, 이 세상에서의 '빛과 소금'으로서의 삶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류씨는 그의 다락방운도이 마치 전통 교회가 계속해 온 총체적인 복음운동을 대체하는 운동인 양 주장함으로써 큰 혼란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런 태도는 지난 100년 이상 한국 교회를 인도하신 삼위 하나님의 역사를 간과하는 처사이다. 또한 그의 '천사 동원권'이나 '사탄 결박권', 그리고 '귀신론' 등은 상당히 치우치고 편중된 가르침으로서, 매우 위험한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런 문제로 인해 류씨의 다락방운동은 가는 곳마다 성령의 열매인 화평을 이루기보다는 오히려 반목과 질시를 초래하며, 교회에 덕을 세우기보다는 혼란과 분열을 야기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은 이단적 성격을 띤 불건전한 운동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교단에 소속된 목사와 교인들이 류씨의 다락방전도운동에 참여하는 것을 일절 금하고, 성경이 제시하고 기존 교회가 전통적으로 강조해 온 총체적인 복음전파운동에 더 한층 매진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성경적 복음전파에 대한 바른 교육을 교단 차원에서 강화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부록> 그 동안 다락방전도운동에 대해 내려진 비판과 그에 대한 다락방측의 반박
현재까지 교계에 발표되고 소개된 비평들이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요 논쟁점은 비슷하며, 그 내용에 있어서도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 부록에서는 이 논쟁의 핵심되는 문제들에 대한 양측의 주장과 견해를 아무런 여과 없이 그대로 소개한다.
A. 삼위일체론
1. 비평
박진규 목사: 류씨의 삼위일체론은 정통 교회가 말하는 삼위일체론은 결코 아니다. 류씨의 말을 들어 보면 그의 삼위일체론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므로 먼저 류씨의 말을 들어 보고자 한다.
"고린도전서 3장 16절,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거하시는 줄 알지 못하느뇨? 그랬습니다. 놀라운 일이지요? 우리 속에 성령이 계신다. 우리 안에 누가 계신단 말이지요? 하나님이 계신다. 이걸 보고 삼위일체, 그래 삼위일체 교리는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이단들은 전부 삼위일체를 거부하지요?"('EBS 양육' 테이프, vol.2, A163)
"성령의 실재성. 이것을 인정할 때는 굉장한 역사가 일어납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셨지요. 요한복음 16장 8-24절. 내가 너희에게 뭘 보내요? 보혜사 성령을 보내사. 주님이 재림오실 때까지. 고게(그것이) 뭐지요? 삼위일체입니다."('새생명' 테이프, vol.2, A464)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류씨는 성령(하나님)이 우리 속에 계시는 것과 보혜사 성령을 보내신 것을 삼위일체로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류씨의 말이 고린도전서 3장 16절을 들어 성도의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차원을 말하는 것일까? 류씨의 말은 성도의 몸이 성전이라는 단순한 개념은 결코 아닐 것이다. 성령이 우리 속에 계시는 것이 삼위일체라는 류씨의 말은, 성령 받으면 사람이 곧 하나님이 된다는 이론밖에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같은 류씨의 말은 윗트니스 리의 '사위일체' 교리는 될지언정 정통 교회의 '삼위일체' 교리는 분명히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면 류씨의 삼위일체론은 누구의 영향을 받은 것일까? 지방교회의 창시자이며 말씀 공급자로 활동했던 윗트니스 리(Witness Lee: 1905-1997. 6.)의 글을 인용해 보기로 하자.
"성육신 이래로 하나님은 주로 사람 안에서 움직이셨다. 신약에서 하나님이 행하신 것은 무엇이든 주로 사람 안에서였다. [안에(in)]라는 작은 전치사는 신약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로 여겨질 수 있다. 만일 당신이 이 전치사를 없애 버린다면, 신약은 무의미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전기 기구에서 스위치를 없애는 것과 같다."
그리고 윗트니스 리는 "오늘날 하나님은 우리 안에서 성육신 되신다"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윗트니스 리의 '신인합일주의' 사상이다. 윗트니스 리는 성육신의 개념을 "하나님이 당신 안으로 들어오신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 그렇다면 류씨가 하나님이 내 안에 계신 것 즉 성령의 임재(내주)를 삼위일체로 설명한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결국 류씨가 '우리 속에 성령이 계신 것'과 '보혜사 성령을 보내시는 것'을 삼위일체라고 한 것은 윗트니스 리의 사위일체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류씨의 삼위일체론은 윗트니스 리의 '삼일 하나님'(사위일체) 교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예장고려(반고소)측: 그는 그리스도와 성도의 신비적 연합을 말하는 가운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위트니스 리의 삼일 하나님과의 연합사상이 스며나오고, 마귀를 진멸하므로 마침내 인간은 무한한 능력의 회복을 주장하므로 한만영의 사상과 맥을 같이하고 말았다. 위트니스 리(Witness Lee)의 진리공과 1단계 제 4권에 류씨와 같은 사상이 서술되어 있어 충격을 받는다.
특히 위트니스 리는 "그는 거듭나는 것은 신인이 되는 것, 거듭나는 것은 하나님 자신과 우리의 영이 혼합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정동섭, [그것이 궁금하다], p.245), 한만영의 신화사상과 유사하다. 한만영은 그의 [그레이스 아카데미 강의록]에서 "하나님의 입장은 마귀 진멸을 위하여 인간을 이용하신다. 그리고 기도하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하나님을 사용하는 인간은 하나님과 같은 수준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땅에 있는 동안 신령과 진정으로 힘을 다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다."([강의록], pp.222-223)라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류광수씨의 우리 안에 계신다는 삼위일체 하나님은 정통 교리의 삼위일체 신론이 아닌 위트니스 리의 삼일 하나님 교리로서 사위일체이며 예수를 영접하는 사람이 하나님이 되는 신인합일의 교리로 분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박진규, [류광수씨의 전도신학 문제점], p.2, [류광수씨 다락방 전도 운동의 성경 신학적인 문제점 비교 대조표], p.8).
2. 반박
박진규 목사에 대한 반박: 최 목사와 박 목사는 류씨가 위트니스 리의 사상과 같은 '삼일하나님'을 주장한다고 비판했으나, 전혀 근거가 없는 말입니다. 오히려 류 목사의 신론은 철두철미 삼위일체에 근거한 정통신학이며, 보수신앙 그 자체입니다. 그가 고전 3:16을 많이 강조하고 있는데, 그것은 삼위일체 중 삼위에 해당하는 성령님과 그 성령의 사역 중에서 '성령 내주'에 대해서 강조한 것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성령이 우리 안에 계심으로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고전 3:16)이라고 성경이 강조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때 '성전' 이라는 단어는 헬라어 원문에는 '지성소'(대 제사장만 일년에 한 번 들어갈 수 있는 장소)라는 단어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류 목사는 이런 것들에 근거해서 우리 성도가 얼마나 존귀한 존재인가? 하는 것을 강조하다보니 이 구절을 많이 인용하게 된 것뿐입니다. 그런데 위의 두 사람은 어떻게 해서 류 목사의 이런 정통신앙을 이단으로 단죄하는지 이해를 전혀 할 수 없으며, 오히려 최 목사와 박 목사가 이렇게 행동하는 것은 사단과 이단에게 유리하게 하는 이적행위와 다를 바 없습니다.
예장고려측에 대한 반박: 고려교단에서 발표한 성명서에는 류 목사가 고전 3:16을 강조한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말을 오도하여, 지방교회의 위트니스 리(Witness Lee)의 "삼일 하나님"과 같다고 주장하나, 이것은 비교종교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테마(Thema)인 "유사한 것(Das Analoge)이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즉 "비슷한 것 같지만 전혀 다른 것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무지의 소치라고 생각합니다. 비유컨대 God(대문자 G)와 god(소문자 g)을 구분하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대문자 'God'는 우리 기독교의 '유일신 하나님'을 뜻하며, 소문자 'god'는 '잡신'을 뜻하는데 이것을 전혀 구분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똑같은 성경 구절(고전 3:16)을 인용하지만 류 목사는 "성령의 내주"와 "성도의 신분에 대한 고귀함"을 강조하여 한 말이며, 위트니스 리(Witness Lee)의 "삼일 하나님"은 인간이 신과 같다는 사상인데, 이것이 어떻게 같은 사상이 될 수 있단 말입니까?
B. 기독론
1. 비판
◆ 기독론의 오류, 성육신의 목적 오해
예장고려측: 류광수씨는 철저히 성육신의 목적을 요한일서 3장 8절에서 찾고 있다. "… 하나님이 어마어마한 계획을 세운 것입니다. 인간의 능력과 전혀 관계없이 로마서 5장 8절에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이 우리에게 대한 자기의 사랑을 뭐하셨느니라? 확증하셨느니라.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만 모르고 있는데 하나님이 길을 열었다 이것입니다…. 누구를 보냈는가? 예수 … 하나님이 보내셨습니다. 두 가지 일을 해결하기 위해서, 요한일서 3장 8정에 "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 완전히 끝내 버렸습니다. … 여러분들이 이 영적인 부분을 모르면요 인생에 대해서 절반은 모르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인생 전체를 모른다고 봐도 됩니다. … 눈에 보이는 것만 보지 중요한 것은 하나도 모른다고 봐도 됩니다. 그 인생 자체는 실팹니다 … 모르면 무식꾼 아닙니까? 중요한 것을 모르면 … 하나님이 오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오심이라 … 보통 말이 아닙니다('복음편지' 강의 테이프 3).
"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오심이라. 죄하고 사단하고 딱 붙어 다닙니다. 언제든지 분리가 되지 않아요(요 8:44, 요일 3:8) 이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닙니다. 강단에서는 언제든지 이기(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는 의미) 선포되어야 합니다. 성경 66권이 전부 이것 선포하도록 다각적으로 계시를 주는 것입니다."('EBS 양육' 강의 테이프 2)
"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요일 3:8), 이 말씀이 이해 되야 그때부터 창세기 3:1-6, 16-20 무엇 때문에 고난 당하는가 알게 돼요, 이기 이렇게 되어져야 구약의 예수님은 뭐 한다고 피를 흘렸는가 알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이해해야만 이 예수님께서는 십자가를 왜 졌는가 알게 되는 것입니다."('평신도 기초 전도 이론' 6)
예장고려측의 평가: 류광수씨의 복음은 요한일서 3장 8절이다.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하는 것으로 진술한다. 마태복음 1장 21절은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고 분명한 목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요한복음 3장16절에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고 분명한 성육신의 목적을 밝혔다.
마귀의 일을 멸하는 것은 택자 구원의 과정 즉 죄인을 구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로 보아야 되는데, 그가 유독히 요한일서 3장 8절을 고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그가 김기동과 한만영의 귀신론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 사단배상설로 그리스도의 속죄 설명
예장고려측: 류광수씨는 성육신 이해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속죄의 원리 역시 뒤틀리고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 때부터 마가복음 10장 45절 대속물로 오셨던 … 대속물이라는 말은 뭔가 갚아 주는 것 아닙니까? 사단에게 모든 우리의 실패의 대가를 전부 다 갚아 버리는 것입니다. 그래놓고 주님이 문을 열어 주셨습니다. 뭔 말인가 아시겠어요, 어마어마한 권세를 주셨습니다."('평신도 기초 전도이론' 강의 테이프 6)
예장고려측의 평가: 여기서 말하는 우리의 실패의 대가를 지불했다는 말은 신학적으로 '사단보상설' 혹은 '사단배상설'이라고 한다. 이 설은 개혁주의 신학에서 거부되는 속죄이론이다. 초대교부들이 사단에게 속가를 보상했다는 설을 주장한 바 있으나 곧 폐기된 설이다. … 중략 …그렇다.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대속물로 주신 것은(막 10:45) 분명히 우리의 죄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 죄의 값을 사단에게 지불한 것이 아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죽으신 것은 우리의 죄 값을 하나님의 공의에 지불한 것이다. 그 결과 우리에게 구원이 주어지는 것이지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이 어찌 사단에게 값을 지불함이 되겠는가?
그는 아무렇게나 말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단배상설이나 다른 이론을 알고 주장한다고 할 수 없다. 사단과 그리스도를 성경해석의 축으로 삼다 보니까 한 성구만을 중심으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고 하겠다.
2. 반박
◆ 사단배상설에 대한 답변
류광수씨: 이 비난에 대하여 저는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는가 하고 비난하는 분들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 검토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대학 3학년 때 한국학을 신학교에서 학습하던 중 무당에 관한 연구를 하였습니다. 한국에는 무당 50만과 역술인 40만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전부 사탄에게 잡혀 있다고 깨달아졌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한 전도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되었습니다. 사단배상설에 관한 비난을 받고 제 설교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수영로 교회 집회 시(Tape 2) 설교하던 중 20년간 무당 생활하다가 돌아온 교인이 있음을 소개하면서 '더 이상 사탄에게 굴복할 이유가 없다. 주님께서 십자가에서 다 지불하셨다'고 격려한 내용이 그렇게 와전되었습니다. 그것도 단 한 번 그런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현상 실수라 할지라도 그런 오해를 끼치게 된 것을 진심으로 사과 드리며 오해가 풀려지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다락방전도훈련원: 류씨는 사실 그의 설교 때마다 책의 여러 곳에서 베드로의 이 고백을 인용하고 강조합니다. 오히려 처음 듣는 사람이 볼 때는 이상하리만큼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말과 "그분은 죽은 하나님이 아니라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다"라는 말을 강조합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런 류 목사의 설교를 듣고 우리가 다 알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만 설교한다고 불평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을 강조하면서 '마귀의 일을 멸하려 오신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대해서 강조를 자주 합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마귀의 정체를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현장에 가보면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마귀에게 시달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류 목사가 요일 3:8을 자주 강조한다고 해서 예수님의 성육신이 마귀의 일을 멸하기 위해서만 왔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 말보다는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하기 위해 오셨다는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에 대한 강조가 훨씬 더 자주 나타납니다.
그런데, 고려교단에서는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여 류 목사를 매도하고 있습니다. 그 성명서에 의하면 류씨가 요일 3:8을 인용하는 의도가 '마귀의 일을 멸하기 위해 예수께서 성육신 하였다'고 주장한다 합니다. 너무나 어처구니없는 거짓말을 늘어놓고 있기 때문에 글을 쓴 사람들의 자질을 의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C. 마귀론
1. 비판
박진규 목사: 류씨는 "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 죄하고 사탄하고는 딱 붙어 다닙니다, 언제든지, 분리가 되지 않아요(요 8:44, 요일 3:8)."('EBS 양육' 테이프, vol.2, A002)라고 했다. 그리고 류씨는 "이 땅과 온 세계가 망해 가는 것은 하나님을 육신과 죄와 사탄으로 말미암아 이 세 가지 때문에 망했습니다. 이 세 가지가 하나가 되어 가지고 육신과 죄와 사탄, 우리는 여기서 해방 받았을 뿐이고 구원받았을 뿐입니다."('대구 핵심' 테이프, 95.8.26, A051)라고 했다. 사탄과 죄가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은 죄와 사탄이 일체라는 개념일 것이며, 육신과 죄와 사탄이 하나라는 말은 육신이 곧 사탄이며 죄라는 뜻이 된다. 그러나 성경은 죄와 사탄을 일체의 개념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예장고려측: 죄와 사단의 일체를 주장하는 류광수씨의 인죄론은 개혁주의 신학과 거리가 멀다. 죄는 사단이 아니라 하나님과 그의 말씀 즉, 행위 언약을 어긴 것이다. 사단의 개입에 의한 인간의 불신앙과 불순종이 죄인 것인데 류씨의 생각은 전혀 다르다. 그의 마귀 문제의 해결에 복음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렇게 사단과 마귀로서 구원뿐 아니라 전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이는 지방교회 위트니스 리(Witness Lee, 이상수, 1905-)의 사상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정동섭 교수가 쓴 [그것이 궁금하다]에서 위트니스 리의 이론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는데 류씨의 사상과 맥이 통한다.
"그리스도는 죄 있는 육신의 모양으로 오셔서 사단을 가지고 있는 인간(Man with Satan)을 사망과 무덤으로 데리고 가서, 사망과 무덤에서 사단이 없는 인간(Man without Satan)을 데리고 나왔다. 그리스도는 사단을 무덤 속에 장사지내고 매장했다. 자, 이제 이 부활한 인간이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었다. 성육신에 의하여 하나님은 인간 안에 들어 왔다. 부활에 의하여 하나님과 인간은 하나가 되었다. 이제 하나님이 인간의 영속에 계신다."(p.249)
위트니스 리의 이단 사상은 죄를 사단과 동일시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위트니스 리가 죄를 사단으로 만들며 의인화하는 것인지 아니면 사단을 죄로 만들며 비인격화하는지 분명치 않으나 죄와 사단을 동일시하는 것은 크게 성경을 벗어났다. 류광수씨가 죄와 사단을 구분할 수 없다는 일체사상은 마귀의 진멸을 회개하고 파악하기 때문에 그렇다. 성경을 억지로 해석한 결과이며 잘못된 사상의 영향으로 이러한 괴설을 주장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 '사단 결박권'에 관한 류광수씨의 진술: "우리에게는 (구원받는 자에게는) 사단 결박권을 주셨다. 막 3:14-15에서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처음으로 하신 말씀 중 셋째, 귀신을 내어쫓는 권세도 주셨다."([전도 기초훈련], p.45)
예장합동측의 비판: 그리스도인들이 사단 결박권을 갖는다는 주장은 표현상 성경의 가르침을 넘어서고 있다.
(1) 사단을 결박할 수 있는 권세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뿐이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가 사단을 결박하였으므로 그 사실을 알고 담대히 살고 있을 뿐이지, 우리가 직접 사단 혹 마귀를 결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 우리는 믿음으로 사단의 지배를 벗어날 수 있으나 우리가 받은 힘으로 사단을 결박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우리가 기도로 사단을 결박할 능력을 가지고 행사한다면 예수 그리스도가 할 일이 없어지며 또 우리가 권세 있는 자가 되어 우리의 힘을 의지하는 자들이 될 것이고, 결국 그리스도는 필요 없는 존재가 되고 말 것이다.
(3) 우리가 마귀를 이기고 시험과 유혹을 물리칠 수 있는 것은 예수의 피를 힘입은 결과일 뿐이다. 결박되지 않고 있는 사단이 우리의 기도에 의해 결박되는 것은 아니다. 사단 결박권은 예수 그리스도만 가지고 있으며 신자들은 그의 보호와 인도로 능력을 얻어 전도의 일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이다.
2. 반박
류광수씨: 솔직히 저는 김기동씨를 잘 알지도 못하고 언급할 만한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합니다. 그 부분에 대한 답변은 제가 드릴 자료가 없으며 김기동씨의 베뢰아 아카데미 수료설은 절대로 헛소문입니다. 다만 설교에서 김기동씨의 불신자 사후 영이 귀신 된다는 이론은 틀린 것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습니다.
다락방전도훈련원: 죄와 사단의 일체설에 대한 비판
"죄와 사단의 일체설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그러면 고려교단에 묻겠습니다. 죄는 누가 짓게 하는가요? 하나님이 죄를 짓게 하십니까? 아니면 천사가 죄를 짓게 하는 것입니까? 죄는 사단이 죄를 짓게 하는 것 아닙니까? 사단은 인간으로 하여금 죄를 짓게 유도하고 죄를 지으면 그것으로 계속 공격을 해오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죄와 사단은 죄를 짓는 측면에서 볼 때에 불가분리라는 뜻이지 그 이상 다른 뜻은 없습니다. 무엇보다도 비판하기 전에 어떤 의미에서 그런 표현을 했는지 먼저 물어보는 것이 성경적일 것입니다.
D. 천사 동원권
1. 비판
박진규 목사: 류씨 강의 테이프에는 구원받은 자에게 7가지의 축복을 주신다고 했는데, 그 중에 네 번째가 '천사 동원권(출 14:19, 히 1:14, 왕하 19:35)' 이라고 했다.('다락방개요-수영로' 테이프, vol.6, B290~vol.7, A002) 더 구체적으로 들어보면, "네 번째 구원받은 자에게 주시는 축복 … 천사 동원권입니다."('다락방개요-수영로' 테이프, vol.7, A013)라고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
더욱이 류씨는 "하나님은 우리 심부름꾼이 아닙니다. 천사들을 심부름시키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 종입니까? 천사들이 우리 종입니다. 하나님이 우리 신발 닦아주고 뭐 이렇게 안 해요. 하나님이 명령하십니다."('다락방개요-수영로' 테이프 vol.7, A210) 라고 했다. 그리고 '신년 축복기도 대성회'(96.1.9)에서는 천사 동원권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천사동원. 성경에 있지 않습니까? 주의 사자들이 가(서) 기도하는 곳마다 하나님은 주의 천사를 보내가(보내서) 불말, 불병거를 동원시키는데, 성경에 중요할 때마다 나오는데 왜 성경을 부인합니까? 성경에 있어요. 그리고 이 응답을 우리는 지금도 받을 수가 있어요. … 하나님이 순복음 OO교회 주위에 우리 K목사님과 주의 종의 배후에 하나님은 불말과 불병거를 착 동원시키십니다. 이걸 보는 눈이 없거든. 이런 눈이. 성경 안 믿으니까 뭐! 그러니까 뭐! 왜 류 목사님은 천사 이야기를. 왜 못합니까? 성경에 있는 거를. 하나님께 함(한번) 물어 보세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해요."('신년 축복 기도 대성회' 테이프, 96.1.9. 대구 순복음교회당, vol.4, B229).
그렇다면 천사 동원권을 누가 받았다는 말인가? 문제의 핵심은 천사 동원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것이다. 정통 교회는 천사 동원권이 하나님께 있다고 하는 반면 류씨는 천사 동원권의 주체가 성도들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문제의 쟁점이다. 그런데도 류씨는 정통 교회가 하나님께서 천사를 동원하시는 것까지 믿지 않는 것처럼 비난을 했다. 이러한 류씨의 태도는 류씨가 정통 교회(신학)를 오해하고 있거나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한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예장고려측: 천사가 사람들을 도와 준다는 생각은 스콜라 신학 때 유행하였다. 그가 기도를 하면 천사가 동원된다는 생각은 다니엘이 사자 굴에서 건짐을 받을 때의 설명들에 근거를 둔 것이지만 천사 동원 사상은 잘못되었다. 원세호 박사는 '이러한 천사 동원권은 베뢰아 귀신론에서 다루는 문제'라 하였다. 은연중 류씨가 기도의 강조와 함께 천사를 동원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을 볼 때 개혁주의 신학은 아니다. 주님이 천사 동원권을 가지고 있고 성도가 천상에서 천사를 부릴 권세가 있으나 이 세상에서 성도가 기도하면 언제든지 천사를 동원할 수 있다는 생각은 New Age 사상과 상통하며 귀신을 결박한다는 사상은 '베뢰아'에서 기원하고 있다.
예장합동측: 천사 동원권에 관한 류광수씨의 진술들은 김기동씨의 진술과 흡사한 면이 있다. '천사의 동원'에 관한 김기동씨의 언급은, 류광수씨의 '천사 동원권'과 김씨의 천사론이 모종의 유대 관계를 맺고 있다는 강한 인상을 준다. 김기동씨는 그의 저서 마귀론에서 "이기는 방법은 천사를 동원하여 능력을 받는 길밖에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믿음의 기도와 하나님의 응답 128면에서는 이런 진술을 한다. "베드로가 옥에서 빠져 나온 것은 놀라운 이적입니다….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철문을 뚫고 그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천사가 동원된 것은 곧 합심 기도의 결과입니다."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천사가 성도를 돕는다는 사상은 성경적이다. 오순절 성령 강림 이후 베드로가 천사의 도움을 받은 사건에 대해 성경은 상세하게 말하고 있다. (행 12:6 이하) 히브리서 기자도 천사가 구원 얻을 후사들을 섬기도록 보내심을 받는다고 말한다.(히 1:14) 그러나 '천사 동원권'이라는 류광수씨의 표현은 문제의 소지를 다분히 안고 있다. 하나님이 필요시에 천사를 보내셔서 주의 백성을 지키시고 보호하신다고 말할 수는 있으나, 천사 동원권을 우리가 행사한다고 주장하는 진술은 모든 것을 영들의 일로 보는 김기동의 마귀론에서 나올 수 있는 논리이다.
2. 반박
류광수씨: 저는 올바른 교단에서 자랐고 배웠습니다. 이단사상을 가질 이유도, 가르칠 이유도, 또한 이단 집단에 대한 경험도 전혀 없습니다. 다만 전도현장에서 일군들에게 성도의 축복을 강조하는 중 성삼위 하나님의 역사와 말씀의 역사를 강조하였으며, 성도가 기도하고 전도할 때 성령의 도우심이 있으며 흑암 권세는 결박되며 천사의 도움이 있음을 성경에 나타난 것만 증거했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부분이 있다면 신학자들의 지도를 받고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다락방전도훈련원: 천사 동원권이라는 것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기도할 때 하나님께서 하늘군대(천사)들을 동원시켜서 구해내는 것이 성경에 많이 나옵니다. 그것을 언급한 것입니다.
E. 재영접설
1. 비판
예장고려측: 그의 다음과 같은 말을 들어보면 구원을 위한 예수의 재 영접을 강력히 주장한다. 먼저 들어보자. "창 11:1-14절에 바벨탑을 쌓기도 하고 별 짓을 다합니다. 구원의 비밀을 모르는 자들이 그렇다는 말입니다. 저도요 옛날에 구원을 못 받았을 때는 뭐든지 좋은 것은 아 저게 좋은 것인가 보다… 사람의 기준이 없어요. 도둑놈도 기가 찬 대도를 보면 아! 매력이 있고 …."('아비멜렉이 본 여호와')
"요한 1:12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 … 영접한다는 말은 또 잘 모르고 있는데요 전도를 하려면 영접이라는 말을 잘 알아야 합니다. … 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교회 다닌다고 해서 신자는 아닙니다. 교회 다니는 사람 가운데 이 부분(하나님의 아들이 오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참 많습니다. 구원받은 자가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면 어떤 축복을 받게 되느냐? 이게 또 중요하거든, 이런 것을 우리 머리 속에 언제든지 넣어 있으라고 가르쳐야 됩니다. 그래서 일으켜 세워야 됩니다. 우리는 영접하면 끝나는 줄 압니다. 영접한 이후에 더 큰 역사가 일어나는 것이 있지요 … 구원받은 이후에 비밀이 더 많습니다. … 우리가 기존 신자를 일으켜 세워야 합니다."('EBS 양육' 2)
"첫째,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아는 단계(사 53:5, 요삼 1:2), … 그 다음에 믿는 단계, 세 번째가 영접하는 단계 … 예수님을 영접할 때 성령이 내주 합니다. 그 성령은 영원히 거합니다. 우리의 삶을 인도합니다. 마귀 권세에서 해방합니다. 우리의 내세를 보장합니다. … 네 번째가 시인하는(고백하는) 단계(로마서 10:29), 그 다음에 나타내는 단계… 거기서 예수님을 구주로 모시는 기도를 하는 것입니다."('다락방 개요-수영로' 8-9)
예장고려측의 평가: 다락방에서 영접이란 말은 요한일서 3장 8절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마귀 쫓아내기 위해 오셨고 3년 동안 마귀 추방하신 예수님을 영접해야 능력이 오고 기도 응답을 받는다는 논리이다.
요한복음 1:12의 "영접하는 자나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 에서 영접하는 자나 곧 그 이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들이라는 말은 현재 분사형으로 동격을 나타내고 중복성이 아닌 지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류광수씨는 여기의 영접과 믿음을 별개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믿음의 단계를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어디서 왔겠는가? 그의 말대로 어느 날 갑자기 터진 것인가?
위트니스 리(Witness Lee)의 [성경요도] 1권을 보면 "요한복음 1:12…복음과 주 예수의 구속에 찬성하더라도 그것을 믿음으로 여길 수 없다. 믿음에 찬성과 인정함이 포함되었지만 믿음 그 자체는 영접이 아니다. … 그러므로 영접만이 믿음이다"고 하였다(pp.105-106). 류씨 역시 그와 같은 해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기성교회 성도들이 빠져버린다.
수십 년 예수님을 믿었으나 영접하지 못했다는 착각에 빠져 교회를 불신하고 다락방의 메시지에 심취하게 되는 것이다. 혹자는 이러한 류광수씨의 메시지에 감화를 받아 지금까지의 교회생활과 신학교에서의 말씀의 연단과정도 헛것으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구원의 비밀을 깨닫는 것과 예수 영접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하므로 아직도 교회 다녀도 주님을 모르면 다시 주님을 영접해야 한다는 가르침에 은혜를 받았다고 좋아한 것이다.
그러나 구원의 서정상 중생은 단 한 차례 일어나며 그가 말하는 영접은 예수님을 믿는다는 개념이 아니라 성화과정에서의 새로운 은혜의 체험으로 보아야 될 것이다. 성도로서 하나님의 은혜를 느끼는 체험적 신앙이 분명히 있으나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 하에 진행되는 하나님의 오묘한 손길, 즉 느끼지 못하고 주님의 역사를 부인하는 것은 유치한 신앙의 차원이라 할 것이다.
예장합동측: 류광수씨는 예수를 믿는 것과 영접하는 것을 구분하고 특히 여기 영접이라는 말을 요일 3:8("하나님의 아들이 나타나신 것은 마귀의 일을 멸하려 하심이라")의 말씀에 기술된, 그러한 예수를 영접한다는 의미로 사용함으로써, 예수를 믿음으로 구원받는 것 외에 영접하는 단계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그리고 이를 통해 "영접"하는 자를 요원화하고 결국 다락방화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경우 류광수씨의 가르침에는 성경적 구원론과 교회론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그는 예수를 영접함으로써 "마귀의 권세에서 해방된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전도를 사단의 손에서 인간을 건지는 행위로 보고([목회자, 전도자를 위한 현장 복음 메시지] 제40과), "전도를 하기 앞서 예수 이름으로 마귀의 세력을 결박해야 한다. 마귀의 세력을 먼저 결박해서 그가 결코 마음 문을 여는 일이 없도록 하나님께 간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평신도가 읽을 전도 훈련 교재], p.15).
우리는 예수를 믿는 것과 영접하는 것이 동일한 사건의 다른 표현이라고 본다(요 1:12,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받는 자'), '구원받는 자'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만들고 이들을 전도 요원으로 삼는다는 것이 류광수씨의 일관된 주장이라고 사료되는 바, 우리는 이러한 논리가 구원과 관련해 비성경적이라고 확신한다.
2. 반박
류광수씨: 저는 구원의 은혜가 너무 고마워 학원, 공단, 군 현장에 직접 들어가 전도하게 되었습니다. 저를 다른 사람으로 보지 마시고 전도자로 보아주시면 더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전도현장에서 전도하다보니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거를 듣고 믿음을 가지겠다고 고백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 사실을 간증하니 많은 분들이 전도현장에 뛰어 들게 되었습니다. 공단, 대학, 군에서 예수가 그리스도임을 소개하고 그 분을 영접하라고 소개했습니다. 영접 곧 믿음이라고 '요 1:12' 을 소개했습니다. 그러나 믿는 자에게 재 영접해야 한다는 말은 도저히 저로서는 이해가 안 되는 상식 밖의 이야기임을 하나님 앞에서 양심적으로 고백합니다. 혹시 다른 사람이 지나친 강조를 했는지에 대하여는 알 수 없으나 저의 설교나, 강의에서 한 번도 그런 적은 없습니다. 혹 어떤 분이 그리스도에 관한 말씀을 듣고 지금까지 교회당에만 다녔지 예수님을 믿지 않았으니 지금부터 예수님을 믿고 그 분을 나의 구주로 영접하겠다고 하면 그것은 그분 개인의 사정이지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재영접이라는 단어조차 저는 처음 듣는 단어이며 왜 정상적인 목사님들이 그런 이론을 받아들일 수가 있겠습니까? 진심으로 고백합니다. 그런 표현도 한 적이 없으며 혹 그런 부분이 저도 모르게 있었다고 하면 즉각 수정하겠습니다.
다락방전도훈련원: 그의 영접관은 확실합니다. 영접을 강조할 때마다 그는 요1:12의 말씀을 인용하면서 영접하는 것과 믿음이라는 것이 동일함을 강조하며, 교회를 오래 전부터 다닌 사람이 '영접'을 요구하면 '영접'해 줄 수는 있다고 말하나, '재영접'을 주장하지는 않으며, '영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지방교회의 위트니스 리(Witness Lee)처럼 "영접만이 참 믿음이고 다른 것은 다 가짜다"라는 극단론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고려교단에서는 류 목사가 "사탄에서의 해방을 구원으로 생각하며 궁극적인 구원을 부인하고 반 구원설과 재 영접설을 주장한다"고 하나, 이는 터무니없는 곡해이며 거짓말입니다. 사탄의 일대 특징은 사람을 미혹하고 꾀는 것이며 거짓말하는 것인데(계 12:9), 도대체 이들은 어떤 영을 받아서 이러한 거짓말을 잘 하는지 너무나 의심이 갑니다."
F. 교회론
1. 비판
예장고려측: 그의 기성 교회관은 심각하다. "한국 교회 98%가 지금 시험에 들었습니다. … 한국 교회 90%가 싸움에서 쪼개져 생겼대요. 그것도 내가 낸 통계가 아니고 … 책에 나왔습니다. … 그게 무슨 말입니까? 한국 교회 98%가 마귀한테 잡혔어요… 인기, 명예 따라 움직이면서 복음 하나도 안 전하고 복음전하는 것 다 막고 … 너무 한국 교회가 컬컬해요."('다락방 개요-수영로' 11) "영의 세계를 똑바로 모르는 교역자는 무당보다 못해요."('다락방 개요-수영로' 8) "마귀 손에 붙잡힌 사람은 집사가 돼도 변화 안됩니다. 마귀 손에 붙잡힌 사람은 장로가 되어도 변화 안됩니다."('다락방 개요-수영로' 8) "마귀가 이것을(다락방) 막습니다. 그래서 마귀에게 지면 안돼요 … 다락방은 마귀가 막습니다. … 저는 15년을 해 왔는데 제게 훈련받는 교역자들이 많아요. 음으로 양으로 하다가 그만둬요. 주로 그런 사람 보면 잡탕교인 만들어요."('다락방개요-수영로' 9) "나는 여태까지 대한 예수교 장로회 싸움하는 것만 보았거든 … 여기가 천국이지 싸움하는 곳이 보수 신학인가? …."('다락방 개요-수영로' 7)
예장합동측: 다락방 전도 훈련은 기존 신자들을 '요원화'하고 '다락방화'한다는 점에서 기성교회를 분열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교회 안에 위화감을 조장할 만한 원인을 제공한다. 성령이 말씀하시는 전도 기초 훈련 47면은 초대 교회의 복음 전파를 5단계로 나누었다: 요원화 → 제자화 → 지역화 → 전도화 → 양육화, 이것은 다시 1.기존 신자→요원화 2.현장→제자화 3.말씀운동 → 지역화 4.요원화, 제자화, 지역화→전도화 5.훈련→양육화로 설명될 수 있다(위의 책). 그러나 문제는 말씀 운동을 통해 특정 지역을 완전히 장악하기 위한 지역화가 바로 지역 다락방과 연결되어 "교회의 주위 구역과 기존 교인으로 형성, 심방을 겸하면서 훈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기존 신자를 요원화하여 제자화, 지역화, 전도화, 양육화한다는 것은, 새 신자들을 성숙한 예수의 제자로서 교회의 일꾼이 되게 하는 것보다 특수한 다락방 전도 훈련을 통해 그들을 다락방화시킨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성 교회 내에서 다락방 전도 훈련의 특수 이론으로 무장한 자와 그렇지 못한 신자들 사이에 위화감을 조장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이 운동이 교회 분열의 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다락방전도운동은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공교회가 지향해야 할 건전하고 성경적인 전도 운동은 아니다.
2. 반박
다락방전도훈련원: 정통신학은 교회를 통한 그리스도의 구원사역을 강조합니다. 류 목사도 교회관에 대해서 철두철미, 그 교회의 목회자와 교회를 통한 사역을 강조합니다. 그가 기성 교회와 지도자들을 초기에는 비판하였는데, 그 이유는 가장 중요한 주님의 소원인 전도에는 등한시하면서 다른 것에 너무나 치중하는 것 때문에 안타까워서 그렇게 한 것일 뿐, 무시하기 때문에 한 것은 아닙니다. 지금은 핵심요원들을 양육하느라 거의 비판하지 않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이런 비판이 기성교회와 지도자들에게 누가 되었다면 앞으로 비판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려교단의 성명서에 의하면 "기성 교회는 전도가 없는 종교요, 사탄의 교회"라고 했다는데, 너무 심한 표현이며, 그런 말을 했을 리가 없습니다. 그리고 "인장이 찍힌 일련번호가 부여된 핵심요원만이 진정한 복음의 일꾼이라고 오도하고 교회를 무시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다락방에서 주는 증서는 여타 다른 교육기관에서 그 교육을 마치면 수료증을 주는 것과 동일하며, 그 이상의 다른 의미가 전혀 없고, 단지 그 다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리고 다락방만큼 교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곳이 없는데 왜 이런 비판을 하는지 이해가 안되며, 다락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사람이 조금 흉내를 내어 하다가, 물의를 일으키는 것 때문에 이런 비판의 소리가 나오는 듯 합니다. 겸손히 이런 비판에 귀를 기울여 교육하도록 건의를 하겠습니다.
그리고 기성교회의 분열에 대해 언급한 것은 수영로 교회 집회 때였습니다. 그때 참석 대상은 목사님들이었습니다. 목사님들을 상대로 하는 강의 내용은 평신도들을 상대로 하는 강의보다 자연히 어휘의 사용이나 표현에 있어서 그 톤(tone)이 강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목회자들이 들으면 문제가 없는 것이 평신도들이 들으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G. 비판측과 반박측의 전체결론
1. 비판측의 전체 결론
박진규 목사: 류씨의 다락방 교리는 이미 두 교단(통합교단, 고신교단)으로부터 이단으로 정죄된 윗트니스 리의 지방교회의 교리를 답습한 것에 불과하며, 기타 이단교리(사상)들이 혼합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가지 증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필자가 이 책에서 다 밝히지 못한 부분들도 있다.
결국 류씨의 다락방 운동은 그가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간에 기성 교회를 넘어뜨리고, 분열 내지는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므로 '주의 포도원을 허는 여우'의 역할을 스스로 담당한 셈이 되었다. 또한 그의 강의나 설교, 교재들을 살펴본 결과 교리적으로도 상당히 잘못된 부분이 많음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류씨의 다락방 운동은 영적으로 유해한 운동이라고 하는 것이 한국 교계의 진단이다.
예장고려측: 이상의 사실을 통하여 류광수씨의 다락방 전도 운동은 비개혁주의 신학 사상이요, 나가 비복음주의적이며, 균형을 잃은 신학이라 하겠다. 이는 류광수씨가 심취하고 수용했던 여러 단편적 사상이 혼합주의 형태로 나타난 결과이다. 그의 신학은 성격상 체험과 증거를 강조하는 감정신학이며, 사단, 마귀, 귀신을 중심으로 인간의 죄와 구원을 풀어 가는 일종의 사단신학 내지 축사신학이라 하겠다. 결국 교회사에 자주 등장했던 유사기독교 운동 내지 사이비기독교 운동의 특성을 지닌다 하겠다.
예장합동측: 이 연구가 시간 관계상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나, 지금까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류광수씨와 다락방 전도 훈련의 내용이 일견 복음적이요, 기존의 교회 주변 운동과 별반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믿는 단계와 영접하는 단계를 구분하고 요한일서 3장 8절을 그 핵으로 강조하고 있는 점에서 구원론에 있어 중대한 결함을 안고 있으며, 기존 신자들을 요원화하고 다락방화한다는 점에서 교회론에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이유로, 다락방 전도 훈련은 구원론에 있어 신자를 오도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회 내에서 다락방화된 신자와 그렇지 못한 신자 사이에 위화감을 조장하고 분열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그러므로 다락방 전도운동을 받아들이거나 다락방 훈련 교재 및 테이프 등을 교회 안에서 신자 양육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사료된다.
2. 반박측의 전체 결론
예장고려측에 대한 반박: 1) 예장 고려파가 생긴 이유는 고신교단이 세상 법정에 고소하는 것을 반대하여, 석 모 목사를 중심으로 한 몇몇 목사들이 고신교단에 반대하여, 교단을 탈퇴하게 되었는데, 이렇게 생긴 교단을 일명 반 고소파라고 초기에는 불렸는데, 지금은 예장 고려파라고 합니다. 이 사실을 대다수의 사람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세상 법정에 고소하지 않는다고 출발한 교단이 고소보다 더 악한 행위를 불신자들도 다 보고, 듣는 언론, 신문, 잡지들을 통해 감행했다면, 비난을 받아야 마땅할 것입니다.
2) 세상 법정에서도 피고소인을 불러서 사실여부를 조사한 후에 법정 조치를 하는 것이 상식이며, 6.25때 공산당들이 민족의 지도자들과 기독교인들을 즉결처분을 할 때에도 피고를 형장에 불러놓고, 비록 형식적이지만, 죄명을 말한 후에 사형을 시켰습니다. 그런데, 고려교단과 그 신학교는 류광수씨나 다락방 전도운동에 관계된 자들을 한 사람도 불러서 사실을 확인한 적이 한 번도 없이 국민일보(1995.9.24)등과 대중 언론 매체에 복음을 전하는 목사들과 순수한 전도단체인 다락방 전도훈련원을 이단이나 사이비 종교단체로 매도하는 데에 선봉교단의 역할을 한 것은 분명히 불신자가 볼 때에도 상식 이하의 행동임에 틀림없습니다.
3) 한 사람을 비판하려면 그 사람의 성장 배경, 인격과 사상 등 을 깊이 연구한 후에 그렇게 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고려교단과 그 신학교에서는 이런 상식을 지키지 않고 불신자들이 다 보는 일반 신문에 대서특필로 성명서를 발표하여 류광수 목사와 다락방 전도훈련원의 명예를 크게 손상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글의 논리적 근거가 너무나 희박하며, 말이나 글의 문맥상 뜻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유사한 것과 동일한 것을 구분하지 못하고 단죄하였습니다. 목회자(?)와 학자(?)의 양심을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고려교단의 성명서는 다분히 감정적이고 편협적인 것이었으며, 말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인상이 많습니다.
4) 기독교에서 한 목사와 단체를 이단으로 규정하는 것은 마치 형법에서 사형을 언도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고려교단과 그 신학교측은 이런 중요한 사안을 신중하게 결정하지 못하고, 속단함으로 인해 복음화 운동을 엄청나게 방해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서 여러 교단의 수많은 목회자들과 성도들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정말 하나님 앞에서 신앙 양심으로 지금 전국과 세계적으로 펼쳐져 가는 다락방전도운동을 다시 한 번 더 평가해 보시기를 바라며, 이 운동이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면, 잘못 판단하고 속단한 잘못을 하나님께 회개할 뿐만 아니라, 언론. 신문. 잡지 등을 통해 사과문을 발표하시기 바랍니다.
예장합동측에 대한 반박: 지금 다락방전도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합동측 보고서 등에 나타난 글들을 보면 거의 모두가 이단사이비로 몰아가려고 과장하여 비약시키므로 아는 이들은 보고 비웃습니다. 왜냐하면 류 목사의 근본 의도와 정반대로 비판 정죄하는 글들로 이해되기 때문입니다. 저희들은 다음과 같이 건의합니다. 1) 다락방전도운동에 잘못된 점이 우리 장로교 교리와 신학에 비추어 어떤 점이 어떻게 잘못되었으니 시정하여 하라고 가르치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김기동 귀신론과 유사한 것으로 사료되니 잘못된 것이다란 합동측의 방식으로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된 부분은 잘 고쳐서 전도를 잘 해야 한다는 지도가 중요합니다.
=====================================================
대학별 이단활동 현황 대학입학을 맞아 신입생을 비롯한 대학생들의 활기찬 캠퍼스 생활을 위해 각 대학에서 활동하는 이단사이비 단체에 대해 조사했다. 동아리 등록 여부와는 관계없이 어떤 대학에서 어떤 단체들이 어떤 방법으로 활동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뒷부분에는 이단별로 침투해 있는 대학들을 따로 정리했고, 이단사이비 단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대학들도 정리했다. 신입생들을 위해 건전한 기독동아리에 대한 명단도 게재했다. 아래의 내용은 학원복음화협의와 현대종교후원카페 회원들이 제공한 자료도 참고해 정리했다. 단, 대학별 동아리의 활동현황에서 한 사람에 의해 제공된 학교들도 있어 다소 주관적인 내용이 있을 수 있다. - 편집자주 - ◎ 각 대학별 이단 활동
건국대학교: 학교 내에 정식 동아리로 가입한 이단은 없다. 그러나 IYF, CBA, 다락방, 하나님의 교회, 여호와의 증인, 통일교 등의 이단들이 캠퍼스 내에서 활동한다. IYF는 문과대 내에서 소모임을 하고 있고, 포스터 홍보나 가판대를 설치해서 행사 등을 설명한다. CBA는 소모임을 하고 있고, 다락방도 사범대 내에서 소모임을 하고 있다. 하나님의 교회나 여호와의 증인은 전단지를 배포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신상명세를 파악한다. 신천지에서는 건전한 기독동아리 대표에게 접근해 성경공부를 권면해서 여러 번 만난 경우도 있다. 통일교는 포스터나 전단지 등으로 홍보하고 있다. 건국대학교(충주): IYF가 포스터를 붙이고 홍보한다. 이에 반박전단지를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학교 내 활동은 막을 수 있으나 학교 밖에서 학교로 들어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교활동을 하고 있어 그것까지 막기가 힘든 상황이다. 여호와의 증인은 할머니들이 벤치에 앉아 학생들에게 전단지를 나눠주고, 이야기하며 포교한다. 전단지를 학생들이 보지 못하게 치우는 등 이단들과의 접촉을 막으려 애쓰고 있다. 경기대학교: IYF, 신천지, CBA가 미등록 상태로 활동하고 있다. IYF의 경우 교내에서 지속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정동아리 등록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천지는 최근 몇 년간 성경공부를 통한 개별적 움직임을 보이던 중 체대 요가 동아리 등을 사칭, 접근하고 있다. CBA는 소모임 형식의 정기적 모임을 갖고 있다. 경남대학교: 동아리로 등록된 이단은 없으나 IYF와 신천지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증산도와 대순진리회에서도 활동한다. 경북대학교: JMS가 ‘SAM’이라는 이름으로 정동아리로 등록되어 있으나, 최근 몇 년 사이 두드러진 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등록 이단동아리는 IYF, 신천지가 있다. IYF는 문화행사 및 국제교류학생지원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신천지는 몇몇 선교단체에 잠입, 리더급으로 활동하다가 발각돼 추방당한 적이 있다. 경성대학교: IYF가 정동아리로 승인돼 동아리방이 생길 예정이다. 이밖에 학교 근처에 신천지교회인 새생명교회(대연동), 구원파(박옥수 계열)인 부산대연교회(박물관 쪽)가 있다. 경원대학교: CBA가 정동아리로 등록되
어 있으나, 별다른 활동은 보이지 않고 있다. IYF가 전단지를 배포하며 홍보한다. 경인교육대학교: 정동아리는 아니나 IYF와 CBA가 드러나게 활동하고 있다. IYF에서 영어말하기대회 브로슈어를 배포하다가 교직원들의 제재로 그친 적이 있다. 작년말 IVF에서 IYF 홍보 포스터를 떼다 시비가 있었다. 그밖에 신입생을 가장한 IYF 회원이 IVF에 등록하려다 발각된 적이 있다. 경인여자대학: IYF의 활동이 활발하다. 매해 사진전시회가 있었고, 그것을 막는 교내 기독단체와의 마찰도 있었다. 특히 학생들보다는 3,40대 아줌마들이 선물과 함께 전단지를 나눠주며 활동한다. 일반학생들 사이에서 이단들을 기독교로만 인식하고 이단으로 생각지 못하는 것이 큰 문제라고 한다. 경희대학교: 정동아리로 등록된 단체로는 CBA, 증산도가 있으며, 미등록동아리로는 IYF, 월드카프, SGI(창가학회, 남묘호렌게교)가 있다. CBA는 큰 두각을 나타내지는 않으나 한 학기에 한 번씩 찬양집회를 열어 포교하고 있고, 증산도는 동아리연합회 측의 지원을 받아 학기마다 증산도 책 전시회를 열어 증산도 관련 책자를 대여하거나 판매하고 있다. 월드카프는 눈에 띄는 활동을 하지는 않으나 화장실 문 등에 홍보문구를 붙여 회원들을 모집하고, 주로 관광대 위주로 활동한다. IYF는 영어말하기 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대자보와 가판을 활용해 홍보한다.
경희대학교(수원): 정동아리로 CBA가 등록되어 있다. 증산도와 SGI가 미등록 상태이나 꾸준히 활동한다. 계명대학교: IYF가 포스터나 전단지 등을 배포하고 있으나 활발한 활동을 막고 있으며, 신천지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설문조사를 통해 접근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정동아리로는 증산도가, 미등록 동아리로는 대순진리회, JMS (게임동아리로 가장), CBA, IYF 가 활동하고 있다. 증산도는 학교 내 사진전시회로 증산도 책자인 『개벽』에 대해 홍보하거나 교리를 패널로 만들어 홍보하는 활동을 하며, JMS, CBA, 대순진리회는 노방전도 위주로 활동한다. IYF는 영어말하기대회 등의 영어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고 있다. △ 킹제임스성경만이 진리라고 홍보하는 말씀보존학회 포스터 국민대학교: 정동아리로는 증산도와 월드카프가 활동하는데, 증산도는 정동아리 가입이 10년 정도 되었으나, 두드러진 활동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월드카프는 80년대 중반부터 등록되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주로 월드카프와 관계된 일본청년들을 통해 노방전도를 하고, 불우이웃돕기 모금을 벌인다. ‘대학생 의식조사’라는 이름의 설문지 작성과 순결캔디로 바자회를 여는 등 두드러진 모습을 보인다. 밝고 긍정적이며 청년다운 이미지 전략으로 활동한다. 이밖에 여호와의 증인은 아줌마들이 파수대 등의 전단지로 포교하고 있으며, IYF도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두드러진 활동은 없다. JMS가 활동하고 있고, CBA의 경우 CCC가 만든 설문지와 비슷한 설문지를 만들어 신입생들에게 접근하며 소모임 활동을 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CBA는 정동아리는 아니지만 정기모임 등 활발하고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다. IYF는 동아리 등록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구원파(이요한 측)의 모임이 있는데, 15몀 정도의 규모다. 증산도는 얼마 전 정식동아리에서 제명당했으나, 여전히 열심히 포교활동을 하고 있다. 통일교(원리연구회)는 일본어를 가르쳐 준다며 정기적으로 행사를 홍보하고, 일대일 전도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여호와의 증인은 얼마 전부터 대자보를 통해 활동을 시작했고, 몰몬교는 캠퍼스 내에서 홍보지를 나누어 주고 있다. 월간 현대종교 2006년 3월호 기사의 일부입니다.
이외의 내용은 현대종교 3월호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 이단 관련 상품,사업체,기관종합. 기독교를 사칭하는 이단사이비 집단. 기쁜소식선교회 관련 기관인 IYF(International Youth Fellowship: 기쁜소식선교회에서 발족한 청소년대상의 선교조직)의 회장직을 맡아 대학생을 위한 강연회에서 소위 ‘박옥수 참복음’을 외치는가 하면 사내에서 구원파 박옥수 씨를 초빙한 모임을 갖고 환영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국제학생봉사단' 선문대학교, 선화예고,청심국제중학교,청심국제고등학교,월드카프(CARP) 산업 - (주)한국티타늄, (주)평화자동차, (주)통일중공업, (주)일화, (주)와콤, (주)일성콘도, (주)우리몰 스포츠 레저 - 성남일화천마축구단, 세일여행사, 금강산국제그룹, 브라질축구유학원 ,용평리조트, 문화 - 리틀엔젤스 예술단, 평양학생소년예술단, 유니버셜발레단, 참가정문예단 기타 - 통일교 동호회 참사랑, (주)참스마트 ,피스컵축구대회,순결사탕,일성콘도, 수안보 온천타운, 이천 설봉호텔, 여수의 화양단지 병원 - 서울위생병원, 에덴요양병원(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여수요양병원, 서울위생치과병원, 사업체 - 삼육식품(취급 제품: 삼육두유, 삼육아기두유, 삼육당귀두유, 바나나맛, 딸기맛, 초코우유, 삼육콩국, 베지링크, 베지버거, 베지미트, 삼육 후루츠콜, 삼육 라면, 삼육 자장면, 사회사업기관: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소재), 동해노인복지관(강원도 동해시 소재), 아드라(삼육국제개발구호기구), 천사원, 평화의동산(노인보호시설, 충남금산소재), 기타: 청농원 뉴스타트(그린팜 레저타운), 한국생명운동본부(강원도 양양소재), 삼육여행사, 만나수양원(강원도 원주 소재), 평화의 동산(무의탁노인생활보호시설, 충남 금산 소재) =================================================================================== * 니어 워터 오투-제조사가 통일교 기업인 일화이며 판매원은 남양이다. * 새벽이슬-지방교회 (지방교회측 <새벽이슬>과 기독교 청년 매거진<새벽이슬>(대표: 이진오)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현대영어사-윤선생영어교실의 자매지로 여호와증인. * 메리어트 호텔-솔트레이크에서 관광객들이 이단에 의해 완전히 속았다. 이 호텔의 객실에는 모두 몰몬경이 있다. * 세계일보, 워싱턴타임스, UPI통신, 선문대학교, 선화예고, 리틀앤젤스, 평화자동차, 통일중공업, 일화, 와콤, 일성콘도, 우리몰, 성남일화축구단, 금강산국제그룹, 세일여행사, 참사랑(통일교가 세운 동호회), 평양학생예술단,청심국제중고등학교(경기도),용평리조트,피스컵축구대회 등... 통일교 기업체... * 성경통신학교, 평신도훈련원, 삼육외국어학원, 삼육대학교, 이천여고(경기도 이천), 삼육간호보건대학, 삼육중학교, 삼육고등학교(판유걸로 유명한), 서울위생병원, 에덴요양병원, 삼육식품, 동대문종합사회복지관(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소재), 동해노인복지관(강원도 동해시 소재), 아드라(삼육국제개발구호기구), 천사원, 평화의동산(노인보호시설, 충남금산소재)...-안식교 --------------------------------------------------- 이단 사이비집단. 구원파 - 세모유람선(한강유람선), 세모스쿠알렌, 세모페인트, 세모조선소, 세모건설, 과천우정병원 이요한 - 서울중앙교회,출판사 - 영생의 말씀사, 진리의 말씀사 세계일보,용평리조트,리틀엔젤스예술단,피스컵축구대회,맥콜 일화 음료수,설악산 일성콘도 등 이재록 - 만민중앙교회 이송오 - 말씀보존학회 대순진리회 - 대진대학교,대진 중고등학교,대진간호전문대학,대진종합병원,분당 제생병원,대전 의료제단 박윤식 - 평강제일교회 증산도 - 책 '개벽'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 서적- 다빈치코드,영화 '다빈치코드' 그 외 기독교를 사칭하는 이단사이비 종교집단 등. ------------------------------------------------------------- ★ 현재 대학교 동아리는 명칭이 변경 되어 있을수도 있음. ==================================================================================
온라인 세상, 인터넷 속에서도 이단 사이비성 문제 단체들의 활동이 활발하다. 바로 자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다. 이들은 오프라인 세상에서와 마찬가지로 홍보와 교육 그리고 상담 등 포교를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특히 교주의 이단 사이비성 사상이 동영상, 문서 등을 통해 집중적으로 홍보되고 있다는 점에서 위험의 정도가 더욱 심각하다. 불특정 다수의 기존 신앙인을 대상으로 무차별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또한 겉으로는 건강이나 봉사 등 사회활동의 성격을 띠고 있는 사이트들도 적지 않다. 그만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갈수록 인터넷이 생활화되고 있는 때, 인터넷을 사용하는 성도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단 사이비성 문제 단체들의 인터넷 사이트 주소 명단을 파악하고 숙지하는 일은 성도들에게 어느 때보다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 명단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지키는 것은 물론 적극적으로는 섬기는 교회를 이단 사이비성 단체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단 사이비성 단체들의 명단을 파악해, 자신의 컴퓨터 또는 교회의 컴퓨터 내부의 ‘즐겨찾기’나 어느 한 쪽에 저장을 해둠으로 그러한 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적극적인 측면에서 이들 사이트를 방문해 본다면 오히려 적지 않은 유익을 얻을 수도 있다. 우리 주변에 현존하고 있는 이단 사이비성 단체들의 동태를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교회를 그들로부터 보호하는 데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최근 이단 사이비성 단체와 관련된 소위 대안학교들이 다수 개설되고 있는데, 그것을 사이트 검색을 통해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단 사이비성 단체의 집회나 그 단체와 관련된 음악회, 연극 등 문화 행사가 전국에 걸쳐 수시로 열리는데 이때 역시 그들의 사이트 방문을 통해 그 행태를 적지 않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기자가 정리한 이단 사이비성 문제 단체 및 관련 인터넷 사이트 주소 명단은 아래와 같다. 한국교회로부터 공식적으로 이단 또는 사이비(성) 등으로 지적받은 단체들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이단 사이비성 문제 단체 인터넷 사이트 주소의 수는 위의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사이트가 얼마든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위의 사이트에 접속해 보면 각 단체와 관련된 다양한 또 다른 사이트를 얼마든지 찾을 수도 있다. 인터넷의 특성상 사이트의 신설과 폐쇄가 손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다. 실제로 자신을 보혜사 성령이라고 하는 김풍일 씨(새빛등대중앙교회)의 사이트는 최근 폐쇄된 것으로 보인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접속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문을 닫은 상태다. 언제 또 어떤 이름으로 어떻게 인터넷 상에 등장할 지 지켜 볼 일이다. 각 단체의 신도들의 개인 사이트까지 생각해본다면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을 것이다. 위의 대부분의 사이트는 교주의 이단 사이비성 사상을 동영상 설교 또는 문서 등의 형식으로 공개하고 있다. 또한 그것을 주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다양한 사진들을 통해 사이트 첫 화면을 화려하게 장식해 놓아 언뜻 보기에는 이단 사이비성 문제 단체로 보이지 않을 정도다. 교주 등 특정인의 사진이나 관련 문서를 도에 넘치도록 많이 선전하는 것이 위 사이트들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만민중앙교회(이재록)의 경우 대표자 이재록 씨의 이름과 사진이 사이트 첫 화면에 여러 차례 나타난다. 대표자의 최근 활동 동영상과 사진, 설교, 간증집 등을 지나치게 홍보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재록 사이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다른 사이트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교주 개인의 어떠함을 드러내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설교, 서적, 수상 경력 등이 이에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것은 과거 ‘음성적인 활동’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보다 공개적으로 자신들을 드러내면서 공인된 단체라는 인상을 갖게 하려는 전략 중 하나다. 또한 인터넷 세대인 젊은 층 접근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당수 각 사이트들은 자신들의 이단 사이비성 교리의 핵심을 여전히 감추고 있다. 즉 대부분 인터넷을 미혹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안상홍측 사이트들은 ‘교주 안상홍=하나님’이라는 핵심 교리를 드러내지 않고 있다. 이미 사망한 교주 안상홍의 사진을 사이트 첫 화면에 내보내면서도 안상홍 숭배 사상을 정작 겉으로는 감추고 있는 모양이다. 또한 현재 ‘어머니’라고 추앙하며 숭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장길자’ 씨조차 사이트상에서는 잘 드러나 있지 않고 있다. 이만희측 사이트도 큰 차이가 없다. ‘이만희=보혜사’라는 자신들의 핵심 이단 사이비성 교리를 그 사이트상에서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다른 사이트들도 다르지 않다. 이들 중 한국교회 주요 교단으로부터 공식으로 이단 사이비성 등에 대해 규정 받은 사실 자체를 언급한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오히려 한국교회가 잘못되었고 서로 자신들이 ‘정통’인양 목소리를 높이고 있을 뿐이다. 건강이나 학원 사업 등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사이트들도 적지 않다. 사이트 첫 화면만으로는 이 사이트가 이단 사이비성 단체와 연관되어 있음을 쉽게 알 수 없을 정도다. ‘사단법인 국제청소년연합’(www.iyf.or.kr)은 겉으로 보이기는 청소년들을 위한 일반적인 사이트인 것처럼 보인다. 종교성이 잘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단체는 구원파(박옥수측)와 관련되어 있는 단체다. 박옥수 씨는 종종 사이트 주최측이 벌이는 청소년 수련회에 주강사로 참석한다. 청소년들에게 구원파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서다. ‘국제청소년연합 링컨학교’(http://lincoln.or.kr)라는 대안학교도 박옥수측 관련 단체다. 청소년층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증거다.
이처럼 대안학교 형식으로는 이미 개설된 ‘서울크리스천중고등학교’(www.seoulchristianschool.or.kr)도 있다. 이곳은 이송오측(말씀보존학회)과 관련된 곳이다. 현재 한국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역성경은 ‘사탄이 변개한 것’이라는 등의 주장으로 한국교회 주요 교단으로부터 이미 ‘이단’으로 규정받은 단체다. 바로 학원사업을 통해 그러한 이단 사상이 청소년들에게 흘러갈 수 있으며, 학원사업을 직간접적으로 포교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말이다. 건강 사업을 간접 포교의 장으로 활용하는 곳도 있다. 유기농 식품의 생산 및 판매를 알선하는 ‘한농복구회’(www.hannong.com)가 바로 그곳이다. 이곳은 자칭 하나님으로까지 알려진 박명호 씨(엘리야복음선교원)와 관련된 단체다. 건강 문제가 사회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는 이때, 그 속내를 쉽게 드러내고 있지 않은 이러한 사이트들에 대해 성도들의 깊은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기자는 위의 사이트들 방문 중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안상홍측 사이트(www.watv.org) 오른쪽 아랫부분 ‘관련 사이트’ 난에 자체 ‘총회신학원’(www.wmcts.org)이라는 관련 창이 있는 것이었다. ‘안상홍=하나님’이라는 얼토당토 않는 이단성 교리가 학문의 형식으로 전파되고 있다는 말이었다. 1990년에 설립되었다는 그 사이트 안을 들여다보았다. 여느 사이트처럼 이런저런 내용으로 홍보를 해놓았다. 그중 <교육내용>이라는 폴더로 접속해 들어가니 <기독교 이단>이라는 자체 교육 과목이 있었다. 안상홍측에서 이단을 언급한다는 것이 기자의 흥미를 끈 것이다. 그 과목의 세부 항목은 더욱 재미있었다. 그들이 취급하는 ‘이단’의 항목으로는 천주교, 개신교, 안식교, 여호와의증인, 통일교, 구원파 등이었다. 개신교 주요 교단에서 안상홍측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처럼, 안상홍측도 ‘안상홍=하나님’이라는 자신들의 핵심 교리를 인정하고 있지 않은 개신교를 이단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것을 교육시키고 있다는 것이었다. 안상홍측 신학원 사이트 속 어느 곳을 살펴봐도 그곳의 위치와 연락처를 알 수가 없었다. 사이트 제작 시 큰 실수를 한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의도적인 행위라 볼 수밖에 없었다. 게시판과 공지사항 그리고 교육자료실 등 웬만한 정보 접근에는 반드시 회원가입을 통해서만 접속을 가능하도록 해놓았다. 신학원을 철저하게 베일에 가려놓고 있는 듯했다. 기자는 안상홍측 공식 사이트(www.watv.org)에 접속해 그곳에 나와 있는 일반 전화 연락처를 통해 신학원에 관한 문의를 해보기로 했다. 담당 여직원은 기자에게 신학원에 관해서 문의를 하자 자신들의 교회에 대해서 들어보았느냐며 질문을 의아하게 받아들였다. 또한 신앙생활은 오래하였느냐는 등 오히려 질문을 던지며 다소 경계하는 듯 반응했다. 계속해서 기자가 신학원의 위치와 연락처를 묻자 그 여직원은 단지 서울이 아닌 충북에 있다고만 언급할 뿐 구체적인 답변은 회피했다. 기숙사 교통편 등에 대해 계속해서 문의하자 즉답을 피한 채 오히려 기자의 연락처, 결혼여부, 신앙연륜 등을 물어보았다. 신학원 담당자로 하여금 기자에게 연락이 가도록 하겠다고 한 것이 그 여직원이 할 수 있는 상담 또는 대답의 전부였다.
이초석측 사이트(예수중심교회, www.jcc.tv)를 방문하면 역시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사이트를 접속하면 첫 화면에 이초석 씨 사진이 나타난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그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초석 씨는 자신의 집회 중 종종 안경을 쓴 것도 귀신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그 귀신을 쫓는다며 소위 축사를 하기도 했다. 그래서 신도들은 눈 나쁘게 하는 귀신이 나갔다며 안경을 즉석에서 벗어 던지기도 한 것이다. 그런데 정작 이초석 씨 자신은 인터넷 상에서 안경을 쓰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기자가 이초석측에 전화를 걸어 그 사실을 지적하고 문의를 하니 관련자로부터 노환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어쩔 수 없는 것이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노환은 괜찮고 다른 경우에 의한 시력 감퇴는 귀신의 장난이라는 말로 해석이 된다. 그 말을 염두에 두고 계속해서 이초석씨 사이트 속을 오가다 보니 역시 흥미로운 사실을 또 하나 발견할 수 있었다. 이초석 씨를 돕고 있는 중간 지도자들의 사진을 보니 그중 상당수가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 인터넷 세상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수많은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는 세상이다. 그러나 특히 이단 사이비성 단체들의 정보는 한 번쯤 다시 거름종이를 통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개된 것 같지만, 철저히 감추거나 곡해된 내용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 정보들 중에는 단지 우리네 영혼을 유혹하는 데 목적을 둔 것도 적지 않다. 복잡하다고 외면하는 것보다는 수고스럽지만 오히려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할 때다.
아래의 자료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 이단사이비 대책위원회 배포자료를 중심으로 작성이 되어진 것입니다. 1. 성경은 교회의 유일한 권위입니다. 만일 성경 이외의 다른 책들을 그들의 신앙원리로 삼고 있다면 그들은 이단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습니다.(요한계시록 22:18-19) 아래는 성경 이외의 책들을 신앙규범으로 삼고 있는 단체들입니다.
2. 오직 예수 그리스도 만이 우리의 유일한 구원자이십니다. 만일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제한, 부인하면 이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사도행전 4:12) 아래는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구속 사역을 부인하고 그들이 스스로 구원자라고 주장하는 단체들을 소개했습니다.
문선명집단 (통일교)
원리강론
박태선집단 (천부교)
오묘원리
여호와 새일교
말세의 비밀
세계일가공회
영약
몰몬교 (말일성도 예수그리스도교회)
몰몬경
안식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교리문답집
크리스찬사이언스
과학과 건강
여호와의 증인
새세계번역성경
바하이즘
숨겨진 말씀
3. 성경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완전한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성경에 기록된 것말고도 지금도 하나님으로부터 계시와 영감(靈感)을 받는다고 하면 이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성경이 성령에 의하여 기록된 완전한 것이라는 사실을 믿습니다.(딤후3:16-17) 아래에 소개되고 있는 단체는 자신들이 직접 계시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자들을 중심으로 모인 모임입니다.
문선명 집단 (통일교)
문선명:재림주
박태선 집단 (천부교)
박태선:천부(天父)
애천교회 (국제크리스챤연합;JMS)
정명석:재림주
영생교
조희성:정도령
세계일가공회
양도천:한님
여호와 새일교
이유성:재림주
몰몬교(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
요셉 스미스:예언자
안식교(제7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화이트부인:말세여종
크리스찬 싸이언스
에데부인:말세여종
여호와의 증인
럿셀:여호와의 증인
안상홍 증인회
안상홍:성령 하나님
엘리야 복음선교회
박명호:엘리야
4. 그리스도인들은 결코 비윤리적 비도덕적 그리고 반사회적 그리고 반국가적인 집단이 아닙니다.(데살로니가전서 4:16-17) 오히려 경건하고 다른 이들을 위해서 기도할 줄 아는 것이 그리스도인들의 도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예수 그리스도께서 언제 오실지 아는 자들이 있을까요? 성경은 분명하게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의 경고를 무시하고 예수님 재림의 날짜를 말하여 사람들을 미혹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아래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장소와 날짜를 말하여, 미혹한 신앙적 집단입니다.
문선명집단, 박태선집단, 영생교, 동방교, 대한기독교 이삭교회 천국복음전도회, 한국기독교복음침례회, 대한예수교침례회기쁜소식선교회
여호와새일교, 세계일가공회, 주현교회 기독교대한수도원, 호생기도원, 성령쇄신 이스라엘총회, 예루살렘교회, 한국기독교승리제단,봉사회,샛별남원교회
실로등대중앙교회,다미선교회,성화선교교회, 다베라선교교회, 만민중앙교회, 서울중앙교회(김화복), 할렐루야기도원, 혜성교회, 세계추수꾼훈련원, 안산홍증인회, 엘리야복음선교회
몰몬교,안식교,크리스찬 싸이언스, 여호와의 증인
6. 이단 종파 분류 현황 아래는 이단종파의 계보를 적어놓은 것입니다. 그들이 본래의 창시자로부터 다소 다를 수도 있지만 참고해 드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근본적인 것들은 결코 달라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문선명집단(통일교)
문선명
한국. 1960.1.6.
박태선집단 (천부교)
박태선
한국. 1955.
여호와 새일교
이유성
계룡산
세계일가공회
양도천
계룡산
다미선교회
이장림
1992.10.29.
성화선교교회
권미나
1992.10.28.
다베라선교교회
하방익
1992.10.28.
다니엘선교교회
전양금
1992.10.28.
만민중앙교회
이재록
1992.
혜성교회
유복종
1992
안산홍증인회
안산홍
1988.
일월산기도원
김성복
일월산
용문산
나운몽
용문산. 2000.4.5.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화이트
1843.10.22.
여호와의 증인
럿셀
1914.10.1.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문선명집단)
청파동 1가 172
예수교대한 감리회 애천교회 (JMS)
봉천6동 산 67-34
한국예수교전도관부흥협회 (천부교)
부천시 범박동
세계영생학회(영생교)
부천시역곡2동 74-141
한국기독교 에덴성회
용두동 138-26
한국 복음교회
수원시 하월곡동 3거리
실로등대 중앙교회
봉천 4동 914-18
신천지교회
안양시 관양동 173-1
세계기독교 복음선교회
왕십리 한국중앙교회
한국기독교 승리제단
광주시북구 무산동 14-4
기독교 대한 개혁
구의동 254
여호와 새일교
용산구 후암동 102-29
신탄 새일교
대전시동구소제동 309-5
서울중앙교회
충정로 3가 3-3
스룹바벨파
수원시 영화동 354-3
기독교남침례회 성락교회
신길3동 355-184
그레이스 아카데미
대치동 966-9
산해원 부활의교회
마산시 마초동 35-1
한국 예루살렘교회
인천시 남구 숭의3동 107
레마 복음선교회
대치동 941-26
한국기독교복음침례회 (구원파)
한강로 1가 231-79
대한예수교침례회
방배동 239-1
대한예수교침례회 기쁜소식 선교회
영등포우체국사서함132호
샛별 남원교회
남원시 도통동 414-7
다미선교회
연남동 365-25
성화선교교회
부산시금정구 장전동 108
디베라 선교교회
석촌동 226-1
다니엘 선교교회
보문동 2가 105-3
시온교회
일원동 638-2
대방주교회
북구 두암동 881-13
혜성교회
길음 3동 11-14
만민 중앙교회
구로동 85
성령쇄신봉사회
청진동 154-1
한국기독교 승리제단
광주시 북구
한국중앙교회
부천시중구원종동 340-4
종말복음연구회
광명시 광명6동 346-35
37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 (몰몬교)
신당동 6가 292-22
38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 (복원)
연희동 340-28
39
제칠일 안식일 예수재림교 (안식교)
회기동 66
40
크리스찬 싸이언스
중구 필동3가 62-16
41
여호와의 증인
충정로 2가 69-19
42
새예루살렘교회
동구 학동 10
43
퀘이커교
신촌동 2-87
44
한국바하이 전국정신회
후암동 249-36
45
대한 예수교 대성교회
노량진동 273-7
46
예루살렘교회
마포구 도화동
47
세계추수꾼 훈련원
광명시 철산3동 375
48
마가 다락방
서구 석남동 산 16
49
용광로교회(영복기도원)
휘경동 114-9
50
주현교회
이리시 주현동 174-4
51
천국중앙교회
평창동 66-1
52
혜성교회
상도동 78-20
53
에덴문화연구원
화곡동 57-107
54
이스라엘 총회
정릉동 산 1-467
55
용문산
면목동 6동 12
56
할렐루야 기도원
포천 할렐루야
57
기독교 대한수도원
갈말읍 군탄리
58
예수교회 공의회
대치동 287-97
59
호생기도원
산척면 석천리 36
60
기독교대한 에덴수도원
정릉4동 822
61
엘리야 복음선교회
소초면 둔둔 2리
62
안상홍 증인회
답십리 5동
63
세계일가공회
충남 계룡산
64
일월산 기도원
청기면 딩동 산 118
▲ 엘리야 복음 선교원
박명호의 화려한 부활- 한농 복구회
1982년 강원도 원주에 세워진 엘리야복음선교원
최근 박명호 씨(엘리야복음선교원 설립자)의 활동전략이 ‘확’ 바뀌었다. 스스로를 메시아 격인 소위 ‘엘리야’로 자처하며 1980년대에 엘리야복음선교원을 설립하여 한국교회에 커다란 물의를 일으켜 왔던 박명호 씨. 이런 박씨가 한때 잠잠한 듯하다가 근자에 들어 ‘돌나라 한국농촌복구회’(http://www.hannong.com 이하 한농)의 창립자로, 전인교육의 완성자로 온갖 언론 매체를 통해 화려하게 ‘컴백’하고 있다.
박씨가 세운 한농복구회가 언론매체를 통해 알려지고 있다.
KBS ‘제3지대’, MBC ‘신 귀거래사 2부’, ‘고향은 지금’ 등 방송 프로는 물론 여성중앙, 주부생활, 조선일보 등 각종 언론이 앞다투어 박씨의 한농과 대안학교에 대해 소개했다. 그러나 한농은 박명호 씨가 창립자로서, ‘석선 선생님’으로 불리며 한농 사상의 핵심에 위치한 이상 ‘이름만 바꾼 엘리야복음선교회’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농은 현재 국내 10개 지부, 해외 9개 지부가 있으며 부설기관으로 천연농업연구실, 한농종묘사(경북 울진군 서면), 한농유기비료공장(경북 상주시 낙동면), 학교로는 마근담 농업학교, 식품에 한농 종합식품이 있다. 무공해 유기농 식품하면 일단 ‘한농’ 것인지부터 살펴봐야 할 판이다. 이외에도 박명호 씨는 ‘석선’이라는 자신의 호를 따서 <석선시집>(돌나라 刊)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
▲ 안식교
안식교 관련 사업체인 삼육식품에서 나온 유제품들
지금까지 사업체나 관련 기관을 많이 갖고 있기로는 통일교가 단연 제일로 꼽혀왔다. 그러나 요즘은 그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안식교(http://www.kuc.or.kr)의 관련기관과 사업체를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안식교의 관련기관으로는 병원, 학교, 학원, 사업체로 나눌 수가 있는데 지육(知育)·덕육(德育)·체육(體育)을 합친 삼육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 단어가 들어가지 않을 경우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그런 곳으로는 서울 위생병원, 서울 위생치과 병원, 부산 위생병원, 에덴요양병원, 여수요양병원이 있으며 학원에는 SDA영어 학원이 있다.
안식교 문제 전문가 진용식 목사는 “영어학원에서 안식교 교리를 가르치기 때문에 영어를 배우려는 고급인력들이 안식교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며 “SDA 영어학원의 강사는 안식교 선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진목사는 SDA 영어학원의 설립 목적 자체 또한 안식교 포교에 있다고 주장했다.
----------------------------------------------------------
▲ 통일교
'니어워터 오투'는 제조원만 일화로 되어 있는 경우다
경기도 안산에 사는 A씨는 교회에서 모임을 마치고 친구들과 함께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식품점에 들렀다. ‘니어 워터 오투(O2)’라는 음료수가 눈에 띄어 무심코 집어서 마셨는데 찬찬히 살펴보니 판매원은 N사인데 제조원에 통일교 기업인 (주)일화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로 이 제품을 구입하지 않았지만 어쨌든 A씨는 이단관련사 제품들이 성도들의 실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음을 절감했다.
일화가 제조/판매원일 경우는 구별이 쉽지만 제조원만을 맡을 경우는 주의하여 살펴보지 않으면 구분이 쉽지 않다. ‘니어 워터 오투’가 그런 케이스다.
통일교 관련 기관 중 하나인 국제축구아카데미(서울 종로구)
이외에 눈에 띄는 통일교 관련 기관으로는 금강산국제그룹, 브라질축구유학원(사무실 간판은 국제축구아카데미로 되어 있다). 등이 있다. 월드컵과 통일 시대를 맞아 이러한 기관과 연결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 안상홍 증인회 - 하나님의교회,대학생종교개혁선교회CMR,세계복음선교협회
이단들의 숫자와 활동만큼이나 관련 기관과 사업체들도 많다. 안상홍 증인회(http://www.watv.org)는 멜기세덱출판사(http://www.mel.to)가 있는데, 포교활동을 할 때는 주로 ‘멜기세덱 성경연구원’과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라는 이름을 내세운다.
또한 캠퍼스를 전략기지로 삼아 활동하는 대학생종교개혁선교회(http://www. cmrr.co.kr)와 각종 사회봉사활동을 펼치는 국제대학생자원봉사연합회(http://www.daejayon.org)도 안상홍증인회 유관기관이다(하단 도표 1참조). 이 기관을 통해 월드컵 자원봉사를 신청한 회원수는 1,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
▲ 지방교회측
한국복음서원에서 발행하는 서적은<생명의 양식>과 <새벽이슬>이 있다.
지방교회측 <새벽이슬>과 기독교 청년 매거진<새벽이슬>(대표: 이진오)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지방교회의 경우 한국복음서원(http://www.gospelbook.com)이라는 출판사가 있다. 이곳에서 나오는 책들이 기독교서점에 무분별하게 진열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큐티 교제인 <생명의 양식>과 청소년용 QT 월간지 <새벽이슬>을 일반 기독교 서적이나 청년 매거진 새벽이슬(대표: 이진오)과 혼동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
▲ 천부교
신앙촌이란 이름으로 명맥을 유지하며 섬유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박태선의 천부교는 신앙촌이라는 이름으로 아직 명맥을 유지하며 섬유 제품류를 판매하고 있다. 취급 품목에는 이불, 양말, 스타킹 등이 있고, 간장도 생산한다.
----------------------------------
▲ 성락교회(베뢰아)
'일부' 인사들에게 매우 요긴한 자료로 활용되는 주일 신문(대표이사 김기동)
어느덧 교계에 상당 수준 파고들어온 <주일신문>의 경우 대표이사가 바로 김기동 씨(성락교회 담임목사)이다. 정통교회 내에서 이단 옹호 내지는 이단연구가 비방에 골몰해 있는 일부 인사들에게는 매우 요긴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신문이다.
----------------------
▼ 여호와의 증인
윤선생영어교실 윤균 회장 - 여호와의 증인
윤선생 영어교실로 유명한 (주)현대영어사
‘이단 관련성’ 여부를 묻는 질문 중 상당 비중을 차지해 왔던 윤선생영어교실의 대표이사 회장인 윤균 씨는 여호와의 증인 신도다.
윤선생영어교실의 법인체인 (주)현대영어사의 한 관계자는 “윤균 대표이사 회장이 여호와의 증인 신도인 것은 사실”이라고 시인했으나 그것은 “개인적인 종교일 뿐 윤선생 영어교실의 운영과는 아무런 관련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호와의 증인의 신도들이 윤선생영어교실에서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 성도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여호와의 증인에서 이탈하여 비성경성과 폐해를 폭로하는 데 앞장서온 신철수 씨는 “‘증인회’ 신도들이 아무래도 종교생활에 지장을 덜 받기 때문에 윤선생영어교실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이 설사 ‘증인회’ 교리를 가르치지 않고 좋은 인상만 심어줘도 상당한 포교효과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구원파 - IYF,국제청소년연합,IYF영어캠프,기쁜소식선교회
굿모닝증권의 도기권 대표이사 - 구원파
굿모닝증권의 CEO로 잘 알려진 도기권 사장은 구원파 기쁜소식선교회 소속 강남교회에 출석하는 신도다. 도씨의 구원파와 관련한 활동은 전방위적이다.
그의 IYF와 관련한 활동 사항은 주로 ‘대학생의 미래를 위한 명사 초청 강연회’와 연결되어 있다. 지금까지 경남대, 고려대, 부산대, 서울대, 전남대, 조선대, 한양대 등에서 집회를 해왔고, 강연 때 ‘박옥수 복음’이 등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경남대 강연 중 도씨가 언급한 것이다.
“내가 왜 사는가에 대해 진짜 마음으로 구했습니다. 그 때 오래 되지 않아서 참복음을 만났습니다. 박옥수 목사님을 만나게 되고, 말씀을 들으면서 죄 가운데 있던 제 모습이 인정되고, 구원을 받지 못한 부분이 인정이 되면서 말씀을 통해서 제가 구원을 받았습니다. 그 때가 1990년 8월입니다.”
굿모닝증권 대표이사 겸 IYF 회장의 직분으로 홍보되는 도씨가 강연을 할 때 박옥수 씨를 통해 참복음을 만났고, 자신이 구원받은 때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강연회를 주최한 경남대 IYF는 강연회 후 15명이 즉석에서 IYF회원으로 등록했고, 강연회를 앞두고 회원을 받은 부산대의 경우는 100여 명의 가입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래저래 ‘도기권 특수’를 누린 셈이다.
도씨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며 '박옥수 복음'을 외치고 있다
굿모닝증권 사내에서도 이런 현상은 없지 않다. 도씨가 대표이사가 된 지 1년 반. 이미 굿모닝 증권 내부에는 신우회라는 이름 하에 구원파를 중심으로 한 조직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진다. 즉 신우회장이라는 이흥주 상무이사가 IYF 서울지역 운영위원인 동시에 도씨와 같은 교회에 출석하는 신도이고, 신우회 총무인 조정래 씨 또한 구원파측 강남교회에 출석하는 신도다.
구원파측 목회자들도 이에 따라 굿모닝 증권을 출입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기쁜소식선교회소속 영등포제일교회 목회자 임민철 씨가 굿모닝증권의 사내 성경공부를 인도하고 있고, IYF 대학생모임을 굿모닝 증권에서 가졌을 때는 박옥수 씨가 직접 나와 메시지를 전했다.
----------------------------
▲ 몰몬교
메리어트 호텔 CEO J.W 메리어트 2세
객실마다 성경과 몰몬경이 있는 메리어트 호텔 - 서울 강남고속터미널 메리어트호텔,부산메리어트호텔
객실마다 성경과 몰몬경이 있는 호텔. 바로 메리어트 호텔이다. 미국의 세계적인 호텔체인인 메리어트 호텔의 CEO인 제이 윌라드 메리어트가 몰몬교인이기 때문에 생긴 원칙인데 이는 어느 나라를 가든 일관되게 지켜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에 세워진 서울(고속터미널 인근)과 부산의 메리어트 호텔의 객실도 예외가 아니다. 400여 개, 300여 개의 객실에 성경과 몰몬경이 함께 반입되어 있다는 것이다.
서울 메리어트 호텔의 한 관계자는 “메리어트 CEO의 종교 때문에 생긴 일”이라며 “객실에 빠짐없이 성경과 몰몬경이 들어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몰몬교의 한 관계자는 “메리어트 호텔의 사장의 종교가 몰몬교일 뿐, 종교자체와 회사의 운영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몰몬교 유명인사로는 <성공하는 사람들의 일곱가지 습관>의 저자 스티븐 코비가 있다.
메리어트 호텔은 앞으로 인천 국제공항에도 세워질 계획이어서 국내에는 총 3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유명인사 중 몰몬교인으로는 ‘걸면 걸리는 걸리버’ 등 각종 CF와 연애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잘 알려진 방송인 겸 국제 변호사 로버트 할리가 있다. 1989년에 출간된 이래로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1,700만 부가 판매되고 한국에서만 100만 부 이상이 판매된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의 저자 스티븐 코비도 몰몬교인이다.
----------------------------------------------------------
[ 이단 및 사이비 단체 관련 사업체 및 기관 ]
1. 통일교: ★ 지하철에서 2~3명 통일교 학생들이 후원모금 활동하고 있음.모금함에 돈 넣지말것.
- 세계평화 통일가정연합, 세계평화교수협의회, 세계평화청년연합, 세계평화여성연합,
언론 - 세계일보, 워싱턴 타임스, UPI 통신,
교육 - 한국대학원리연구회, 세계대학원리연구회, 브리지포트 대학, 통일신학교(UTS), 통일사상연구원, 청평수련원, 세계평화이상가정 교육본부,
일화의 취급 제품들: 크린베이트알파(구충제), 천연사이다, 해주로(숙취제거제), 마시는 자일리톨, 식스터스(발관리제), 립프리티, 일화 초정탄산수, 초정탄산수, 진생업, 삼정톤, 맥콜, 하이쌕 포도·오렌지·삭삭갈은 배, 홍지원, 미소 화이바, 매쉬, 탑씨 오렌지·포토·파인, 매실 소다, 비엔트, 민속 식혜·대추, 생솔, 참 우롱차, 매실 사이다, 알로에 마을, 푸른 매실,
2. 안식교:
교육 - 성경통신학교, 평신도훈련원(경기도 가평 소재), 삼육외국어학원, 삼육대학교, 이천여고(경기도 이천 소재), 삼육의명대학, 삼육간호보건대학, 삼육중학교, 삼육고등학교, 원주·호남·동해·영남 삼육고등학교,
3. 여호와의증인
·정기간행물: 워치타우어(WATCH TOWER), 파수대, 어웨이크(Awake), 깨어라
·부정기간행물: 신세계역성경
4. 천부교(전도관): 신앙촌 이불, 간장, 양말, 스타킹 등
5. 한농복구회(구: 엘리야복음선교원)
도서출판 석국(출판사), 한농 복구회, 천연농업연구실, 한농종묘사(경북 울진군), 한농유기비료공장(경북상주), 마근담 농업학교(경남 산청 소재), 한농예능학교(전북완주 소재), 한농실업학교(경북울진 소재), 미국농업학교(미국 테네시주), 한농종합식품, 실로암건강생활연구원(충남 공주 소재)
6. 구원파:
박옥수측 - 기쁜소식사(출판사)
이요한측 - 진리의말씀사(출판사)
7. 지방교회
한국복음서원(출판사), <생명의 양식>, 청소년용 QT월간지 <새벽이슬>
8. 김기동 씨(성락교회)
주일신문,
9.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일반적으로 안상홍 증인회라함)
멜기세덱 출판사, 멜기세덱 성경연구원, 국제대학생자원봉사연합, 대학생종교개혁선교회
10. 다락방
다락방신문, 다락방여행사
11. 레마선교회
월간 레마, 예일신학대학교
12. 한국예루살렘교회 땅끝예수전도단(선교단체)-강남고속터미널 옆
13. 말씀보존학회
잡지 - 성경대로 믿는 사람들
14. 신나라(아가동산)
신나라레코드
* 윤성생영어교실-여호와증인.
* 국제축구아카데미-최근 월드컵 붐으로 만들어진 통일교 단체.
* 멜기세덱출판사-안상홍증인회.
* 대학생종교개혁선교회-안상홍하나님의증인회.
* 신앙촌-박태선의 천부교.
* 주일신문-김기동.
* 굿모닝증권-구원파
* 메리어트호텔은 서울과 부산에도 있습니다.
* 로버트할리는 TV에 출연하는 유명인입니다. 그는 몰몬교 신도입니다.
* 워치타우어, 신세
계역성경, 파수대, 깨어라-여호와증인
* 신앙촌 이불, 양말, 스타킹 등-박태선 천부교
* 기쁜소식사(박옥수), 진리의말씀사(출판사)-구원파
* 한국복음서원(출판사), <생명의 양식>, 청소년용 QT월간지 <새벽이슬>-지방교회
* 다락방신문, 다락방여행사-류광수 다락방
* 잡지 성경대로믿는사람들-말씀보존학회
* 시온기독교신학원 지역별 명칭 세부사항
정명석 - JMS,MS,CGM,기독교복음선교회,대학교 동아리 등....
신천지 - 말씀사랑선교회,무료성경신학원,대학교 동아리 등....
안상홍 - 하나님의교회,안상홍증인회
류광수 - 다락방전도운동
김기동 - 서울성락교회,베뢰아아카데미,CBA
기쁜소식선교회 - 구원파, IYF,국제청소년연합,IYF영어캠프,EBS,녹색회,GNN,CAA,LBF,DCF 등....
구원파 - 박옥수,생명의말씀선교회,홀트아동복지회,기쁜소식강남교회
여호와 새일교 - 문제선 예루살렘교회,새일중앙교회
여호와의증인 - 윤선생영어교실
박명호 - 엘리야복음선교회
크리스찬싸이언스
몰몬교 - 밀알성도예수그리스도의교회
안식교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삼육대학교,삼육 중고등학교,삼육두유,삼육제품,기독신학원 등
이만희 - 시온기독교신학원
이장림 - 다미선교회
이명범 - 레마선교회
나운몽 - 용문산기도원
박태선 - 천부교
박명호 - 엘리야복음선교원
문선명 - 통일교 ,선문대학교,선화예술중고등학교,청심국제중고등학교,성남일화,월드카프,순결사탕,
이초석 - 예수중심교회
김계화 - 할렐루야기도원
윗트니스리 - 지방교회(한국복음서원)
서울지역 ★ 현재 사무실이 변경 되어 있을수도 있음.
강남 - 선릉역 또는 역삼역 인근 상록회관 후문.
강남기독교신학원, 세계교역자연합선교회 신학교육관 강남지부
강동 - 천호역 1번 출구 한미은행 옆 건물 사이. 대한예수교교역자선교연합회
부속: 평신도신학교육원, 부설:열린성경 문서 통신선교회
경동 - 제기역 미도파 백화점에서 경동시장 방향. 기독교성경신학교육원,
대한예수교교역자선교협의회(교육관) *구. 열린 성경만나캠프
광화문 - 광화문역 새문안교회 옆 덕수빌딩 5층. 세계복음화선교연합회, 부설: 광화문신학교육원
금천 - 구로공단역 중소기업은행 골목. 대한예수교교역자선교연합회
부속 평신도 신학교육원, 부설: 열린성경 문서통신 선교회
사당 - 이수역 방배경찰서 근처. 기독교신학원, 사당평신도신학교육원
서울역 - 서울역 벽산빌딩 뒷편. 기독청년학생신학교육관
송파 - 석촌역 기업은행에서 성남방향 쪽으로 5-6백 미터. 열린성경교육원
신림 - 신림역 기독교신학교육관,
신촌 - 신촌역 사거리 외환은행 뒤 2층, 열린성경교육원
영등포 - 당산역 근처 시온기독교신학교육관
은평 - 불광역 역촌역 사이. 동명여고 후문. 은평기독신학원.
창동 - 창동역 도봉구청별관 옆. 대한예수교교역자 선교협의회, 신학교육관
기타 지역
동수원 - 동수원 사거리. 은혜와 진리교회 맞은편. 시온기독교신학원
수원 - 수원역. 아카데미극장 근처. 평신도신학교육관
안양 - 안양역 중앙한방병원. 맞은편. 신학교육관, 안양기독교신학원
안산 - 중앙역. 2001년 아울렛 옆. 교역자 선교연합회 신학교육관
분당 - 분당 백궁역. 분당 종합 피아노 지하, 삼위신학교육원.
성남 - 신흥전철역. 성남요리학원. 기독교신학원
일산 - 일산 그랜드 백화점 맞은편. 신학교육관.
화정 - 경기도 화정역 버스 터미널 앞. 화정신학교육원
의정부 - 의정부 역에서 동두천 방향 기독교신학원.
인천간석 - 동암역에서 간석 오거리. 총회 통신신학교
전라도
광주 - 광주역 광호예식장 5층. 신학교육관
백운 - 광주 주월 주택단지 시온기독교신학원
군산 - 흥남동 근처 군산상고 사거리. 열린성경교실.
순천 - 영양동에서 오병원 뒤쪽. 시온 크리스찬 칼리지
금암 - 광주 금암동 교보생명 옆. 시온신학교육관
여수 - 관문동 우체국 근처. 시온기독교신학원
익산 - 평화동 주택은행 옆. 시온기독교신학원
전주 - 객사 맞은편. 기독교신학원
기타
경남 - 김해성경정보시대
부산 - 범일동 근처 한국성경신학원
강원도 - 춘천 열린성경교실
* 시온기독교신학원의 과거와 최근 사용명칭
90년대 중반 사용하던 명칭
기독교무료신학원(무료성경신학원), 전국원로장로협의회, 신천지예수교장막성전, 이만희
현재 사용하는 명칭
시온기독신학원, 대한예수교교역자협의회, 세계선교역자선교연합회, 세계복음화선교연합회,
설립자 이희재(본명 이만희)
대학가 캠퍼스 이단
안상홍 증인회 대학가 활동명칭: 대학생종교개혁선교회(cmr), 대학생자원봉사연합,
JMS(정명석, 기독교복음선교회): 신앙과 예술(전남대 등 이름을 자주바꿈), BNB(중앙대), CGM(조선대), 고들 빛(건국대), BOB(경북대), 아기자기(대구대), 신앙과 예술, 프라비던스 (부산대학교), 보라매(서원대학교), 예수사랑(충북대) 등
구원파(박옥수):IYF(울산대, 울산 기능대, 포항공대, 부산동아대 전남대 강원도립대, International Youth Fellowship), GNN(고려대, Good News Net), C.A.A(부산대 Culture Activity Asociation), 믿음의 사람들(충남대, 일명 LBF - Live By Faith)
기타: 만민중앙교회(MCM), 김기동 씨의 성락교회(권세 있는 말씀, ERC, CBA), 지방교회(오버키월스) 등
네티즌이여, 이 주소명단을 조심하라
이단사이비 단체 인터넷 무차별 포교 "주의 요망"
구원파(기독교복음침례회, 권신찬, 유병언측) www.ebcworld.org
구원파(기쁜소식선교회, 박옥수측) www.goodnews.or.kr
구원파(국제청소년연합, 박옥수측) www.iyf.or.kr
구원파(대한예수교침례회, 이요한측) http://seoul.jbch.org
구원파(생명의말씀선교회, 이요한측) www.jbch.org
안상홍측(안상홍증인회하나님의교회) www.watv.org
안상홍측(멜기세덱출판사) www.melchizedek.co.kr
안상홍측(하나님의교회총회신학원) www.wmcts.org
이만희측(시온기독교신학원) www.eduzion.org/home
이만희측(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 www.shinchonji.com
이재록(만민중앙교회) www.manmin.or.kr
이송오측(말씀보존학회) http://biblemaster.co.kr
이송오측(서울크리스천중고등학교) www.seoulchristianschool.or.kr
심재웅(예수왕권선교회) www.jesusking.co.kr
박무수(부산제일교회) www.church.or.kr
김풍일(새빛등대중앙교회) www.shiloh.co.kr
김기동(성락교회) www.sungrak.or.kr
다락방측(류광수) www.darakwen.net
다락방측(대한예수교장로회전도총회) www.pcea.or.kr
정명석측(기독교복음선교회) www.cgm.or.kr
정명석측(proviworld) www.proviworld.com
안식교 www.adventistkr.org
박명호측(엘리야복음선교회) www.suksun.co.kr
박명호측(한농복구회) www.hannong.com
여호와의증인 www.watchtower.org/languages/korean
이초석(예수중심교회) www.jcc.tv
박윤식측(평강제일교회) http://pyungkang.or.kr
박태선측(천부교) www.chunbukyo.or.kr
통일교(문선명) www.tongil.or.kr
할렐루야기도원(김계화) www.hallelu.net
▲ 구원파(박옥수측)과 관련되어 있는 ‘국제청소년연합’ 사이트. 사이트 상으로는 이곳이 이단 단체와 관련된 곳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 안상홍측 공식 사이트(www.watv.org). 이미 사망한 교주 안상홍의 사진이 첫 화면 오른쪽 윗부분에 보인다. 그 화면에 이어 현재 추앙받고 있는 장길자 여인의 사진도 나타난다. 사이트 어느 곳을 살펴봐도 '안상홍=하나님'이라는 그들의 핵심 교리가 쉽게 보이지 않는다.
▲ 이초석측의 공식 사이트(www.jcc.tv).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이초석 씨의 모습이 첫 화면에 나타난다. 이씨가 집회 중 안경 쓴 것도 귀신 때문이라며 축사를 한 것에 대해 이씨측 한 관계자는 노환은 어쩔 수 없다는 식으로 대답했다.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귀 사단 귀신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용어 - 이현숙 - (0) | 2007.10.10 |
---|---|
[스크랩] G-12 (0) | 2007.09.28 |
[스크랩] 2222 (0) | 2007.07.13 |
[스크랩] 구약 그림자료 (0) | 2007.07.13 |
[스크랩] 신약 그림자료 (0) | 200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