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열두제자연구 1 열두제자연구.1 ================================= 의리의 사나이;시몬 베드로 ================================= (요한복음 1:44,눅5:4-5) 들어가는 말 보논 그라운즈(Vernon Gronuds)박사는 신학교 졸업생들에게 격려사를 하면서 목회를 성공적으로 하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조그만한 선물을 하기로 하였다. 졸업식장은 조용한.. 기독교자료 2007.07.12
[스크랩] 열두제자연구 2 열두제자연구.6 ======================= 신중한 사람 : 빌립 ======================= (요한복음1:43-46) 들어가는 말 1.이름의 뜻 “말을 좋아하는 사람”이란 뜻인 이 이름은 아마 북쪽 갈릴리 바다에 그리이스의 영향력을 계속하여 행사한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인 빌립의 이름을 따른 것 같기도 하다. 또 사도들의.. 기독교자료 2007.07.12
[스크랩] 삼계탕 알고 먹읍시다. 알아두세요 삼계탕에 넣으면 약이 되는 체질별 식재료&약재 01_태양인 -좋은 약재 모과, 솔잎, 오갈피, 붕어, 다래 -이로운 음식 메밀, 쌀, 포도, 감, 앵두, 해물, 배추, 오이, 상추 -피해야 할 음식과 약재 무, 꿀, 조기, 고추, 겨자, 카레, 육류, 꿀, 인삼 -삼계탕과의 궁합 태양인은 열이 많은 체질이므로..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성경의 가치 성경의 가치 Ⅰ. 시작하는 말 기독교가 맞고있는 위기는 성경에 대한 관심의 약화이다. 그 관심의 약화는 성경에 대한 가치를 바로 알지 못하는데서 비롯된다. 관심의 초점이 흐려질 때는 당연히 여러 가지의 방법론이 난무하게 되는 것이다. 성경에 대한 관심이 가면 갈수록 약화되어 신학의 목적과 ..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칼 바르트의 예정론 비판 *칼 바르트의 예정론 비판*Ⅰ. 서 론칼 바르트(Karl Barth, 1886 ~ 1968)는 20세기 스위스가 낳은 최대의 신학자로 추앙되고 있다.바르트가 타계한지 30 여년이 지난 지금, 여전히 그의 신학적 영향력은 약화되지 않고 있다.현재 구미 각국의 대표적 신학자들 중 거의 대부분이 바르트 신학의 영향권 안에서 신..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예수의 영과 육에 대한 고찰 예수의 영과 육에 대한 고찰 Ⅰ. 시작하는 말 예수의 영과 육에 대한 논의와 논란은 예수님이 이땅에 오신 이후 지금까지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이 문제가 논의와 논란이 되는 것은 기독교에 있어서 이 문제는 그 만큼 중요하다는 뜻도 된다. 예수의 영과 육에 대한 논의와 논란을 통해 교..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예수님의 `팔복` 교훈 예수님의 '팔복' 교훈 -*선지직 증거인가?*- (마 5:1 ~ 12) Ⅰ. 서론 스코틀랜드 출신인 영국의 대표적인 성경학자 윌리엄 바클레이 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 산상수훈은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삶의 본질이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 팔복은 산상수훈의 본질이다. 그러..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성경적 기독교*1* (서론) 제 1 장, 서 론 1, 제목에 대한 설명 1) 계시종교로서의 기독교라는 뜻이다. 2) 절대진리로서의 기독교라는 뜻이다. 2, 현대 기독교의 문제점 1) 기독교가 무속신앙화 되어간다. 2) 기독교가 신비주의화 되어간다. 3) 기독교가 인본주의화 되어간다. ".....그러나 무엇이든지 내게 유익하던 것을 내가 그리스..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성경적 기독교*2* (기독교 성경관) 제 2 장, 기독교 성경관 1, 성경관의 중요성 1) 역사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2) 교리적 측면에서 중요하다. 2, 성경의 필요성 1) 하나님을 아는데 필요하다. 2) 구원을 얻는데 필요하다. 3, 성경의 내용 1) 하나님의 언약 내용이다. 2) 하나님의 성취 내용이다. "먼저 알 것은 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기독교자료 2007.07.07
[스크랩] 성경적 기독교*3* (기독교 신관) 제 3 장, 기독교 신관 1, 하나님의 속성 1) 하나님은 전능성을 가지셨다. 2) 하나님은 성실성을 가지셨다. 3) 하나님은 주권성을 가지셨다. 4) 하나님은 영원성을 가지셨다. 5) 하나님은 자비성을 가지셨다. 2, 하나님의 사역 1) 하나님은 모두를 작정하셨다. 2) 하나님은 인간을 예정하셨다. 3) 하나님은 작정.. 기독교자료 2007.07.07